https://doi.org/10.2307/26421428
이 논문은 예수에 대한 누가의 묘사와 이스라엘 성경에 나오는 엘리야-엘리사 이야기 사이의 연결 고리를 '내러티브간 관계'라는 범주를 통해 논하고자 한다. 나는 내러티브간 관계를 일종의 특수한 형태의 암시로 정의한다. 이는 특정 원전을 반영하는 텍스트 상호성(intertextuality)과는 달리, 여러 텍스트에서 나타나지만 어느 텍스트 하나로 완전히 설명될 수 없는, 이야기 전승 전체에 걸쳐 울려 퍼지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엘리야-엘리사 이야기에 대한 누가의 사용을 살펴보면 새로운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 누가는 독자들에게 예수의 이야기를 엘리야와 엘리사에 대해 알고 있는 모든 것과 연결하도록 초대하는데, 이러한 초대는 누가의 전략적인 암시를 통해 이루어진다. 일단 이 초대를 받아들이면, 독자들은 예수가 엘리야와 엘리야를 닮을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예수의 이야기를 읽게 되며, 예수의 이야기는 때로는 이러한 기대를 확인시켜 주기도 하고, 때로는 좌절시키기도 한다. 텍스트 상호성 분석을 통해 나는 엘리야와 엘리사의 세 가지 주요 특징(기적적인 표적을 행하는 방식, 통치자에게 맞서는 방식, 후계자를 기름 붓는 방식)을 예수의 이야기를 읽는 템플릿으로 삼아 살펴보고, 지속적인 그리스도인 제자도에 대한 모델을 발견할 수 있다.
This article seeks to discuss the connection between Luke's portrayal of Jesus and the Elijah-Elisha stories from Israel's Scriptures through the category of internarrativity. I define internarrativity as a special category of allusion; unlike intertextuality, which echoes specific source texts, internarrativity resonates within a whole tradition of storytelling witnessed by several texts but exhausted by none of them. Examining Luke's use of the Elijah-Elisha narratives in these terms yields fresh fruit: Luke invites readers to connect Jesus' story with everything they know about Elijah and Elisha, an invitation issued through Luke's strategic allusions. Once accepted, this invitation prompts readers to read Jesus' story with the expectation that he will resemble Elijah and Elisha, an expectation that Jesus' story sometimes confirms and sometimes confounds. Intertextuality allows me to examine three prominent characteristics of Elijah and Elisha (the way in which they perform miraculous signs, confront rulers, and anoint successors) as a template for reading Luke's story of Jesus, and find in it a model for ongoing Christian disciple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