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에즈라와 제2바룩에 나타난 지혜로서의 토라

Torah as Wisdom in 4 Ezra and 2 Baruch

https://doi.org/10.1163/15700631-BJA10005

이 논문은 후기 제2성전기 유대교에서 ‘토라’의 의미와 그것이 ‘지혜’와 맺는 관계를 탐구한다. 선행 연구는 모세 토라가 지배적 지위를 얻으면서 지혜 학파가 이를 흡수·수용했으나, 지혜 전통의 핵심 요소들은 여전히 보존되었다고 주장해 왔다. 본고는 두 유대 묵시문학 작품인 제4에즈라(4 Ezra)와 제2바룩(2 Baruch)을 분석하여, 모세 토라의 “지혜화”뿐 아니라 지혜 전통이 정당성을 얻기 위해 모세 토라 전통의 권위 아래 완전히 복속되는 양상을 밝혀낸다. 이는 시내산에서 받은 모세 계시에 지혜 계시를 종속시키고, 지혜의 수혜자와 묵시적 환시의 주인공을 모세의 전형으로 묘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겉으로는 옛 전통에 순응하는 듯하지만, 실제로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종교적 혁신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 준다.

This essay is concerned with the meaning of torah and its relationship with wisdom in late Second Temple Judaism. It has been previously argued that, as the Mosaic torah had gained dominance, the wisdom school absorbed and accommodated the Mosaic torah tradition, and yet maintained all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sapiential tradition. Through a study of two Jewish apocalypses, 4 Ezra and 2 Baruch, the essay discovers not only the sapientialization of the Mosaic torah, but also the total submission of the wisdom tradition under the authority of the Mosaic torah tradition to gain legitimacy. It argues that this is done through a submission of sapiential revelations to the Mosaic revelation received at Sinai, and a portrayal of wisdom recipients and apocalyptic visionaries as types of Moses. This process reflects religious innovation under the disguise of compliance with established, older traditions.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