εἴ πως와 재림(Parousia) 전 죽음에 대한 바울의 소망 (빌 3:11)

본 논문의 목표는 주석가들이 종종 난해하게 여기는 두 단어, 즉 빌립보서 3장 11절에서 바울의 부활에 대한 기대를 주저하며 수식하는 표현인 εἴ πως를 설명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εἴ πως의 의미론과 이 구절에 대한 다양한 학문적 해석들을 검토한 후, 현재 소수 의견에 해당하는 견해를 제안하고 그에 대한 추가적인 증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빌립보서 3장 11절에 나오는 바울의 ‘어떻게 해서든지 죽은 자 가운데서 부활에 이르려 하노니’(εἴ πως καταντήσω εἰς τὴν ἐξανάστασιν τὴν ἐκ νεκρῶν)라는 표현에 대한 설명은, 그가 자신이 죽었다가 부활할 것인지, 아니면 주님의 재림(parousia) 때까지 살아남을 것인지에 대한 불확실성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이 구절은 그가 전자의 경우(죽었다가 부활하는 것)를 더 선호했음을 나타낸다.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explain two words which commentators often find puzzling – Paul’s εἴ πως, which hesitantly qualify his expectation of resurrection in Phil 3.11. After considering the semantics of εἴ πως, and various scholarly interpretations of this verse, this article will propose what is very much currently a minority view, and will offer further evidence for it. The explanation for Paul’s εἴ πως καταντήσω εἰς τὴν ἐξανάστασιν τὴν ἐκ νεκρῶν in Phil 3.11 is to be found in his uncertainty about whether he will die and be raised, or whether he will survive until the parousia. The clause also indicates his preference for the former.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