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1177/0142064X231226158
본 연구는 에베소서 5장 22절에서 아내들에게 주어진 명령형 동사의 존재 여부, 위치, 인칭에 관한 논쟁적인 본문 이형(textual variant)을 재검토한다. 이 이형에 대한 대부분의 기존 연구는 사본의 지지도와 필사자들이 본문을 어떻게 변경했을지에 대한 전사적(transcriptional) 주장에 근거하여 문제(주로 명령형이 없는 본문을 선호하는 쪽으로)를 결정해 왔다. 그러나 저자의 논리와 문체에 근거하여 그가 무엇을 썼을지에 대한 내적 개연성(intrinsic probabilities)은 대체로 무시되어 왔다. 본 연구는 담화 및 정보 구조, 그리스어 명령법의 화용론, 에베소서의 문체적 특징을 사용하여 에베소서 5장 22절의 여러 이형 본문들이 갖는 내적 개연성을 평가함으로써 이러한 공백을 메운다. 이 분석의 결과, 가장 높은 내적 개연성을 가진 본문은 '또이스 이디오이스 안드라신 휘뽀타세스토산(τοῖς ἰδίοις ἀνδράσιν ὑποτασσέσθωσαν)'으로 나타난다. 이는 동일한 본문을 지지한 거리(Gurry, 2021)의 최근 주장을 강화하는 것이다.
This study revisits a contested textual variant concerning the presence, placement, and person of an imperative directed at wives in Eph. 5.22. Most previous treatments of this variant have decided the matter (typically in favor of the reading without an imperative) on the basis of manuscript support and transcriptional arguments about how readers and copyists of the text would have changed it, but the intrinsic probabilities of what the author would have written based on his argument and style have generally been neglected. This study fills this gap by assessing the intrinsic probabilities of the variant readings in Eph. 5.22 using discourse and information structure, the pragmatics of the Greek imperative, and stylistic observations in Ephesian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e reading with the highest intrinsic probability is shown to be τοῖς ἰδίοις ἀνδράσιν ὑποτασσέσθωσαν, which bolsters the recent case made by Gurry (2021) for the same read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