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5325/jtheointe.18.2.0281
기독교 성경 내에서 구약성경과 신약성경 간의 관계는 성경신학 학문의 핵심적인 초점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특징 규정은 일부 역사 중심적 성경신학 모델들과 뚜렷한 대조를 이루며, 이 학문에 대한 신앙고백적 접근법 안에서 진행되는 여러 내부 논의들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광범위한 성경 해석적 탐구의 타당성은 성경신학에 대한 정경적 접근법을 분명히 하는 일련의 최근 연구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 신약성경의 몇몇 전략적인 구절들도 이러한 특정한 성경신학적 성찰 방식을 장려한다. 두 언약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성경신학 학문 내의 모든 난제를 해결하지는 못하겠지만, 다양한 방법론적 원칙과 신학적 결론들의 다채로운 집합을 하나로 묶어줄 수 있는 구심력을 만들어낼 수 있다.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ld Testament and the New Testament within the Christian Bible should be the defining focus of the discipline of biblical theology. This characterization provides a strong contrast with some historically oriented models of biblical theology and can also inform several intramural discussions within confessional approaches to the discipline. The viability of this large-scale exegetical inquiry can be seen in a stream of recent research that articulates a canonical approach to biblical theology. Several strategic passages in the New Testament also encourage this particular mode of biblical-theological reflection. An orienting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staments will not resolve every riddle in the discipline of biblical theology, but it can produce a gravitational pull that can hold together a diverse constellation of methodological commitments and theological conclu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