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421399
신학과 역사를 함께 사고하는 것은 어려운 과제이자 오랜 문제다. 과거에는 역사가 이 둘의 관계에서 주로 우위를 점했지만, 최근 성경의 신학적 해석에 대한 진전은 이러한 추세를 역전시키기 시작했으며, 이는 종종 역사-비평적 방법을 희생시킨다. 이러한 두 가지 관점은 에른스트 케제만(Ernst Käsemann)의 연구, 특히 A.K.M. 아담(A.K.M. Adam)의 최근 비판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특히 케제만의 "역사 비평은 가현설로부터 보호한다"는 언급이 중요하다. 아담의 논문과 역사적 예수에 대한 케제만의 연구를 면밀히 살펴보면, 역사 비평에 대한 아담의 광범위한 비판 중 일부는 옳을 수 있지만, 케제만에 대한 그의 직접적인 공격은 부당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복음서 장르의 고유성과 초기 케리그마에 대한 역사적 예수의 중요성에 대한 케제만의 입장을 분석해 보면, 케제만이 역사 비평을 단순하게 옹호하는 것이 아니라 신학과 역사 사이의 중용적 입장을 제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 나아가 케제만의 연구는 역사의 신학적 활용을 보여준다. 만약 이러한 역사의 신학적 활용 (또는 역사 비평의 신학적 활용)이 허용된다면, 케제만의 연구는 아담의 비판을 피할 뿐만 아니라, "단순한 역사"의 제한적인 유용성에 대한 그의 더 큰 주장을 지지하는 동반자가 되며 적대자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케제만의 역사적, 신학적 종합은 신학과 역사 사이의 관계에서 실현 가능한 선택지를 보여주며, 이는 아담의 비판에 의해 아직 폐기되지 않은 유용성을 유지한다.
Thinking theology and history together is a difficult task and a longstanding problem. While in prior centuries history has typically dominated the dyad, recent progress in the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Scripture has begun to reverse this trend, often at the expense of the historical-critical method. A case study of both of these points may be found in the work of Ernst Käsemann and, particularly, in A. K. M. Adam's recent critique thereof—especially Käsemann's comment that historical criticism protects against docetism. Looking closely at Adam's article and Käsemann's work on the historical Jesus, the present study concludes that, while several of Adam's points against historical criticism writ large may well be correct, his direct attack on Käsemann is misplaced. An analysis of Käsemann's positions on the uniqueness of the Gospel genre and the importance of the historical Jesus to the earliest kerygma reveals that, far from a simplistic commendation of historical criticism, Käsemann offers something of a via media between theology and history. Perhaps better, Käsemann's work represents a theological use of history. If such a theological use of history (or of historical criticism) is permitted, Käsemann's work not only eludes Adam's criticism, it actually becomes a partner in support of, not an adversary to, his larger argument regarding the limited usefulness of "mere history." Käsemann's synthesis of the historical and the theological thus shows itself to be a viable option in the theology-history nexus—one that retains its usefulness in a way that Adam's critique has not yet obvi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