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1163/15685365-12341736
이 논문은 데살로니가전서 4:13–18이 바울의 임박한 종말 기대(Naherwartung)를 보여준다는 통설에 의문을 제기한다. 통상적인 해석은 4:15, 17절이 종말이 곧 온다는 바울의 기대를 전제한다고 보지만, 이는 헬라어 문법 해석에서 두 가지 전제를 깔고 있다. 첫째, εἰς τὴν παρουσίαν τοῦ κυρίου의 기능을 특정 방식으로 가정하지만, 다른 해석도 동일하게 가능하다. 둘째, “주님의 재림까지 남아 있는 자들”을 “살아 있는 우리”를 제한적으로 수식하는 구문으로 이해하는 대안적 해석군이 존재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대안들을 구분·평가한 뒤, 데살로니가전서 4:15, 17에는 여러 개연성 있는 해석이 존재하며, 그중 임박한 종말 기대 해석은 하나의 가능성일 뿐임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will question the conventional view according to which 1 Thess 4:13–18 shows evidence of Paul’s Naherwartung. Although Paul’s expectation of an imminent end is usually assumed to be the default interpretation of 1 Thess 4:15, 17, it actually rests on certain presuppositions about the Greek syntax of these verses in two respects. First, the usual interpretation assumes εἰς τὴν παρουσίαν τοῦ κυρίου as functioning a certain way, although an alternative is equally possible. Secondly, a family of related alternative interpretations understands “who are left (to the Lord’s parousia)” as modifying “we, the living” in some sort of limiting way. After disentangling the proposed alternatives and evaluating the component interpretations, the article will show that there are in fact several plausible interpretations of 1 Thess 4:15, 17, of which the Naherwartung view is only 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