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좋은 부활’ (히브리서 11:35): 무엇보다 더 낫다는 것인가?

https://doi.org/10.1177/0142064X241304361

히브리서 11장 35절의 '더 좋은 부활'(κρείττων ἀνάστασις)이 종말론적인, 일반적 부활을 가리킨다는 데에는 거의 모두가 동의한다. 그러나 그것이 단지 엘리야와 엘리사가 살려낸 여인들의 아들들의 소생(resuscitations)과 비교되어야 한다는 다수의 견해는,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것보다 더 약한 기반 위에 서 있다. 본 논문은 고대의, 성경적인 죽음과 부활 개념에 대한 존 레벤슨(Jon Levenson)의 연구(2006)를 바탕으로, 문맥 속에서 히브리서 11장 35절을 면밀히 읽어냄으로써 '더 좋은 부활'이 가장 직접적으로는 그 구절의 마카비 순교자들이 거부한 포로 상태로부터의 '속방(redemption)', 즉 일종의 부활로 이해되는 일시적인 생명으로의 복귀와 비교되며, 또한 신실한 여인들의 아들들의 소생과도 비교됨을 보여준다. 이삭의 '상징적인(in a symbol)'(ἐν παραβολῇ, 11:19) 부활과 더불어, 이 결론은 히브리서의 이스라엘 영웅 목록 전체가 침범하는 죽음의 영역으로부터의 부활에 대한 예표적(proleptic) 경험으로 특징지어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Nearly all agree that the ‘better resurrection’ (κρείττων ἀνάστασις) of Heb. 11.35 refers to the eschatological, general resurrection, but the majority view that it is to be compared merely with the resuscitations of the women’s sons by Elijah and Elisha stands on weaker foundations than is usually recognized. Building on Jon Levenson’s work on ancient, scriptural notions of death and resurrection (2006), the article shows through a close reading of Heb. 11.35 in context that the ‘better resurrection’ is compared most immediately with the ‘redemption’ from captivity the verse’s Maccabean martyrs reject, i.e., a temporary return to life understood as a kind of resurrection, but also with the resuscitations of the faithful women’s sons. Together with the resurrection of Isaac ‘in a symbol’ (ἐν παραβολῇ, 11.19), this conclusion suggests that Hebrews’ catalogue of Israel’s heroes is marked throughout by the proleptic experience of resurrection from the invasive realm of death.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