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5325/jtheointe.14.2.0180
이 글의 주장은 예수의 매장이 요한복음에서 약속의 땅에 대한 소유권 주장으로 묘사된다는 것이다. 이 논지에 대한 지지는 네 가지 논거로 제시된다.첫째, 구약 성경의 땅 약속 성취는 서사적으로 매장지에서 성전 부지로 이동한다. 둘째, 요한복음의 왕과 성전 강조는 구약 성경의 땅 약속과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셋째, 요한복음 19장 38-42절에 나타난 예수의 매장은 왕과 성전이라는 동일한 연결 고리를 사용하여 예수의 몸을 묘사하는 구약 성경의 암시를 활용한다. 마지막으로, 매장은 구약 성경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문화적 맥락에서도 땅 소유권 주장과 관련된다.따라서 요한복음 19장 38-42절의 상호텍스트적 서사적 구조 —즉 매장, 왕, 성전이라는 구조—는 예수의 매장을 땅 소유권 주장으로 제시한다.
The argument of this article is that Jesus’s burial is portrayed in the Gospel of John as a claim on the promised land. Support for this thesis is given in four arguments. First, the fulfillment of the land promise in the OT moves narratively from a burial site to a temple site. Second, the king and temple emphases in the Gospel of John are tied directly to the land promise in the OT. Third, Jesus’s burial in John 19:38–42 uses OT allusions that serve to describe Jesus’s body using that same nexus of king and temple. Finally, burial is related to land claims not only in the OT but also in a variety of sociocultural contexts. Thus the intertextual and narrative matrix of John 19:38–42—namely that of burial, king, and temple—serves to present Jesus’s burial as a land cla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