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윗이 그를 가리켜 이르되”: 시편 16편과 사도행전 2장에 나타난 소망의 토대

“For David Said Concerning Him”: Foundations of Hope in Psalm 16 and Acts 2

https://doi.org/10.5325/jtheointe.11.2.0239

피터가 오순절 설교에서 시편 16편을 사용한 것은 신약에서 구약을 사용하는 방식, 그리고 초기 예수 추종자들의 글과 그들이 자신들의 것이라고 주장한 성스러운 글 사이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에 대한 논쟁의 시금석이 되었다. 이 거대한 논쟁에 대한 필자의 기여는 이 두 본문에 나타난 희망의 진술을 형성하는 희망의 근거들, 즉 희망을 품는 이유들 사이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필자는 각 본문에서 희망의 본질과 희망의 근거들(시편 16편에서는 세 가지, 사도행전 2장에서는 다섯 가지를 식별한다)을 차례로 검토한다. 필자는 본문들 사이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의 본질이 많은 신약 성경 저술(누가-사도행전 포함)을 특징짓는 메시아적 및 부활 논리의 근본적인 결과이며, 이 논리 안에서는 불연속성이 신약 저자들과 화자들이 자신들을 자리매김하는 오래도록 확립된 이야기와의 근본적인 연속성에 봉사한다고 결론 내린다.

Peter's use of Ps 16 in his pentecostal speech has been a touchstone of debates about the use of the OT in the NT and thus about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tween the writings of the earliest Jesus followers and the sacred writings they claimed as their own. My contribution to this enormous debate is an analysis of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tween the foundations of hope—that is, the reasons to hope—that inform the statements of hope in these two texts. I examine the nature of hope and the foundations of hope (of which I identify three in Ps 16 and five in Acts 2) in each text in turn. I conclude that the nature of the continuities and discontinuities between the texts are fundamentally the result of the messianic and resurrection logic that characterizes many NT writings (including Luke–Acts), in which the discontinuity is at the service of the underlying continuity with the long-established story in which the NT authors and speakers place themselves.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