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5325/jtheointe.16.2.0223
본 논문은 기독교 성경의 구약과 신약 전체에 걸쳐 유형론적 주석을 연구한다. 구체적으로는, 나사렛 예수가 다윗의 기름 부음 받은 아들이라는 초기 기독교 신념에 비추어 볼 때, 우리는 다윗의 헷 사람 우리아에 대한 폭력적 살인과 밧세바 강간 이야기가, 예수가 다윗의 후계자로 제시되면서도 동시에 다윗 왕가의 폭력적 배신의 유산이 성취되는 인물로 제시되는 정경적 틀 안에서 어떻게 자리매김하는지 이해하고자 한다.사무엘-열왕기서에 나타난 다윗의 죄와 그 유산에 대한 문학적 독해에서 시작하여, 본 논문은 마태복음 족보에 등장하는 우리아와 그의 아내에 대한 잘 연구되지 않은 언급과 그것이 마태복음이 예수를 '다윗의 아들'로 제시하는 데 미치는 중요성을 살펴본다. 우리는 복음서 전통에서 다윗의 폭력이 가룟 유다라는 모호한 인물에게 집중된다고 제안한다. 그는 헷 사람 우리아처럼 이스라엘 왕에게 충성스러운 인물들의 명단에서 가장 마지막에 등장한다 (마 10:4; 막 3:19; 눅 6:16; 삼하 23:39 참조). 우리아가 다윗에게 보인 충성과는 대조적으로, 그러나 다윗이 우리아를 배신한 것과는 일치하게, 유다의 배신은 예수를 다윗 왕가의 후계자로 읽는 유형론적 해석이 왜 필연적으로 복잡할 수밖에 없는지를 보여준다. 복음서들은 예수를 새로운 다윗의 아들로 규정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그의 다윗의 죄에 대한 상징적인 역전을 통해 그 성경적 패러다임을 변형시키는 인물로 제시한다.
This essay is a study in typological exegesis across the testaments of the Christian Bible. Specifically, in light of early Christian conviction that Jesus of Nazareth is the anointed son of David, we seek to understand how the story of David’s violent murder of Uriah the Hittite and rape of Bathsheba figure within a canonical framework in which Jesus is presented as David’s heir and yet also as the one in whom the Davidic legacy of violent betrayal reaches fulfillment. Beginning with a literary reading of David’s sins and their legacy in Samuel–Kings, the essay moves to consider the under-studied reference to Uriah and his wife in the Matthean genealogy and its import for Matthew’s presentation of Jesus as a “son of David.” We suggest that in the gospel tradition, David’s violence concentrates in the obscure figure of Judas Iscariot, who, like Uriah the Hittite, appears last in the roll of individuals faithful to their Israelite king (Matt 10:4; Mark 3:19; Luke 6:16; see 2 Sam 23:39). In contrast to Uriah’s fidelity to David—but in step with David’s betrayal of Uriah—Judas’s treachery demonstrates why typological readings of Jesus as the Davidic heir remain necessarily complex. The Gospels identify Jesus as a new son of David, and in so doing, they also present him as one who transforms that scriptural paradigm through his symbolic reversal of David’s s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