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아테네와 예루살렘: 덕으로의 전환이 신학적 주석에 의미하는 바

Athens and Jerusalem Once More: What the Turn to Virtue Means for Theological Exegesis

https://doi.org/10.2307/26421308

이 에세이는 해석적 덕의 개념을 탐구하고, 현대 주석가들에게 그것이 갖는 중요성을 명확히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최근 여러 연구에서 성경 해석을 쇄신하는 데 있어서 덕의 중요성을 언급했지만, 그러한 시도와 관련된 선택지, 이점, 그리고 과제에 대한 간결한 설명은 여전히 찾기 어렵다. 이러한 설명을 간략하게 제시하기 위해, 이 에세이는 자매 학문 분야에서 유사하지만 동일하지 않은 경향인 덕 인식론을 탐구한다. 린다 자그제브스키와 로버트 C. 로버츠 및 W. 제이 우드의 덕 인식론 모델은 성경 해석에 있어 덕 윤리를 적용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몇 가지 통찰력을 제공한다. 인식론과 주석 사이에 중요한 차이점이 분명히 존재하지만, 특히 로버츠와 우드는 다양한 해석적 이점을 획득하는 데 도움이 되는 습관을 형성함으로써 지적 삶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덕 접근 방식이 성경 해석에 얼마나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지 보여준다. 이 접근 방식이 해석적 논쟁을 해결하는 방법을 제공할 가능성은 낮지만, 성경 해석의 목표를 더욱 명확하게 정의하고 교사가 학생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훈련할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 성경 해석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크게 풍부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방향 전환이 과장되어서는 안 되는데, 덕 이론이 좋은 성경 해석을 만드는 요소에 대한 완전한 그림을 제공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상당한 가능성을 지닌다. 마지막으로, 이 에세이는 덕 이론에 대한 세 가지 일반적인 반론, 즉 성경적 증거와 잘 맞지 않는다는 점, 해석학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지 못한다는 점, 그리고 불가피하게 문제가 있는 형태의 상대주의를 초래한다는 점을 다룬다.

This essay aims to explore the concept of interpretive virtue and to elucidate its significance for contemporary exegetes. Although several recent works have referenced the importance of the virtues in renewing biblical interpretation, a concise account of the options, benefits, and challenges associated with such a move remains elusive. To sketch this account, this essay explores virtue epistemology as an analogous (but not identical) trend in a sister discipline. Two models of virtue epistemology—the first from Linda Zagzebski, and the second from Robert C. Roberts and W. Jay Wood—offer several insights that should inform appropriations of virtue ethics in biblical interpretation. While there are surely important differences between epistemology and exegesis, Roberts and Wood in particular demonstrate the great potential that lies in a virtues approach to biblical interpretation that aims at improving the intellectual life by forming habits conducive to the acquisition of various interpretive goods. Though this approach is unlikely to provide a way of adjudicating interpretive disputes, it can significantly enrich our understanding of biblical exegesis by delineating its goals more clearly while also helping teachers to train students more effectively. While this reorientation must not be overhyped—virtue theory does not offer a complete picture of what makes good biblical interpretation—it holds significant promise. Finally, the essay addresses three common objections to virtue theory: that it represents a poor fit with the biblical witness, that it yields no substantial contribution to hermeneutics, and that it ineluctably results in problematic forms of relativism.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