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421417
초기 기독교 작가들은 사드락, 메삭, 아벳느고와 그들이 겪은 불타는 용광로 이야기를 자주 사용한다. 이 이야기는 종종 부활의 희망과 연관되는데, 특히 도상학에서 사용될 때 그러하다. 그러나 문헌상으로는 이 이야기가 로마 제국에 의한 순교와 관련된 문학 작품에서 다시 이야기된다. 초기 기독교의 맥락에서 국가에 대한 충성심과 불충성심 문제는 종교적, 정치적 헌신에 의해 좌우되며, 이는 다니엘서에 제시된 것과 유사하게 보인다. 오리게네스의 "순교 권고"와 히폴리투스의 다니엘서 주석과 같은 문헌들은 다니엘 3장과 순교 사이의 연관성을 반영한다. 그러나 콘스탄티누스 황제의 개종 이후, 다니엘 3장에 대한 해석은 변화하는 역사적, 사회적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크리소스토무스와 키루스의 테오도레투스의 작품에서는 제국의 위협이 감소하고, 대신 세 젊은이의 덕망 있는 삶에 초점이 맞춰진다.
Early Christian writers made frequent use of the story of Shadrach, Meshach, and Abednego and their experience in the fiery furnace. Often, this story was associated with the hope of resurrection (especially when used in iconography), but textually the story was retold in literature related to martyrdom at the hands of the Roman Empire. In the context of early Christianity, questions of loyalty and disloyalty to the state were driven by religious and political commitments in a way that appears analogous to those presented in the book of Daniel. Texts such as Origen's Exhortation to Martyrdom, as well as Hippolytus's commentary on Daniel reflect the association made between Dan 3 and martyrdom. Following the conversion of Constantine, however, the interpretation of Dan 3 shifted in light of changing historical and social circumstances. In the works of Chrysostom and Theodoret of Cyrus, the threat of empire diminishes, with attention focused instead on the virtuous lives of the three youth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