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그리스도론의 발전과 시편 2:6의 역할 – 사도행전 13:33을 중심으로

It is widely agreed among NT scholars that the earliest use of Ps 2:7 by the early church was in reference to Jesus’ resurrection. It has also been suggested that the birth motif of Ps 2:7c was already linked to the resurrection in the early church. The present paper suggests that Ps 2:6 (“I have set my King on Zion, my holy hill”), instead of the birth motif, provides the ‘missing’ link between the quotation of Ps 2:7 and the resurrection in Acts 13:33. It will first survey the different proposals for the function of the quotation of Ps 2:7 in Acts 13:33, and then suggest that its function is best understood in light of pre-Christian Jewish tradition about Zion as the “heavenly Jerusalem.”It will be argued that this Jewish tradition, coupled with Ps 110:1 and 8:6, was taken up by the early church and led them to see Ps 2:6 as a prophecy about Jesus’ exaltation to the right hand of God. Since the psalm was understood messianically and applied to Jesus by the early church, this divine statement too was most likely interpreted as applying to Jesus. Then, it becomes conceivable that the reference to Zion (v.6)was understood as the heavenly Jerusalem, where God is, and so he takes Jesus and sets him up there as King. If so, the early church would have interpreted the verse 6 as a messianic prophecy about Jesus being exalted by God. Then the promise in vv.7-8 was understood as a reference to the messiah’s heavenly reign till his enemies are defeated (cf. 1Cor 15:24-28; Ps 110:1; Ps 8:6). Such a reading coheres with the temporal order of the psalm as suggested by Acts 4:25-26. Ps 2:1-2 was fulfilled when Jesus was put to death by the Gentiles and the people of Israel (vv.25-28), while Ps 2:6-8 was fulfilled when he was vindicated at his resurrection/exaltation as the Son of God enthroned at his right hand. If the view proposed here is convincing, then, the widely held view that the earliest use of Ps 2:7 was in reference to Jesus’ resurrection becomes questionable and makes the view that it was first used as scriptural proof for Jesus’ divine sonship (which was clearly demonstrated at his resurrection) more likely. Moreover, if our view is convincing, another widely held view that Jesus became God’s Son at his resurrection must seriously reconsidered.

신약학자들 사이에서는 초기 교회가 시편 2:7을 가장 먼저 사용한 것이 예수의 부활과 관련되었다는 점에 폭넓은 동의가 이루어진다. 또한 시편 2:7c의 탄생 모티프가 초기 교회에서 이미 부활과 연결되었다는 주장도 제기되어 왔다. 본 논문은 탄생 모티프가 아니라 시편 2:6("내가 나의 왕을 내 거룩한 산 시온에 세웠다")이, 사도행전 13:33에 인용된 시편 2:7과 부활 사이의 '잃어버린 고리'를 제공한다고 제안한다. 먼저 사도행전 13:33에 인용된 시편 2:7의 기능에 대한 다양한 제안들을 살펴본 뒤, 그 기능은 시온을 "하늘의 예루살렘"으로 보는 기독교 이전 유대 전승의 관점에서 가장 잘 이해될 수 있음을 제안할 것이다. 이러한 유대 전승이 시편 110:1과 8:6과 결합되어 초기 교회에 수용되었으며, 이를 통해 초기 교회가 시편 2:6을 예수께서 하나님의 우편으로 높여지신(승귀) 것에 대한 예언으로 보게 되었음을 논증할 것이다. 이 시편은 메시아적으로 이해되어 예수께 적용되었으므로, 이 신적 선언 역시 예수께 적용되는 것으로 해석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렇다면 시온에 대한 언급(6절)은 하나님이 계신 하늘의 예루살렘으로 이해되었고, 따라서 하나님께서 예수를 그곳에 왕으로 세우신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만약 그렇다면, 초기 교회는 6절을 하나님에 의해 높임 받으신 예수에 대한 메시아적 예언으로 해석했을 것이다. 그렇게 되면 7-8절의 약속은 그의 원수들이 패배할 때까지 이어지는 메시아의 하늘 통치에 대한 언급으로 이해된다(고전 15:24-28; 시 110:1; 시 8:6 참조). 이러한 독해는 사도행전 4:25-26이 제시하는 시편의 시간적 순서와도 일치한다. 시편 2:1-2은 이방인들과 이스라엘 백성이 예수를 죽였을 때 성취되었고(25-28절), 시편 2:6-8은 그가 부활/승귀를 통해 하나님의 우편에 좌정하신 아들로서 옳으심이 입증되었을 때 성취되었다.만약 본 논문에서 제시된 견해가 설득력이 있다면, 시편 2:7의 가장 초기 사용이 예수의 부활과 관련되었다는 널리 받아들여지는 견해는 의문의 여지가 생긴다. 그리고 이 시편이 (부활을 통해 분명히 증명된) 예수의 신적 아들 되심에 대한 성경적 증거로 처음 사용되었다는 견해는 더 큰 설득력을 얻게 된다. 더 나아가, 우리의 견해가 설득력이 있다면, 예수가 부활을 통해 하나님의 아들이 되었다는 또 다른 통설 역시 심각하게 재고되어야 한다.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