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화된 인지 와 근원적 성찬례 문헌

Embodied Cognition and the Foundational Eucharistic Texts

https://doi.org/10.5325/jtheointe.15.2.0277

본 연구는 마가복음과 바울서신의 성찬 본문에서 체화된 인지가 어떻게 드러나는지 보여주고, 체화된 인지가 현대 독자들의 해석을 어떻게 가능하게 하고 활성화하는지 고찰하기 위해 다양한 인지 언어학적 방법들을 사용한다. 일련의 관련 인지 언어학 모델들이 제시되고 활용된다: 체화된 시뮬레이션, 개념적 기반, 네트워크화되고 혼합된 심리 공간, 이미지 스키마, 개념적 은유, 의미론적 프레임, 그리고 프레임 환유가 그것이다. 체화된 인지는 세 가지를 가능하게 한다. 첫째, 이는 성경 해석과 신학적 성찰에 필요한 유추적 사고를 활성화한다. 동시에, 체화된 인지의 과정은 현대 성경 독서 공동체가 이 고대 본문들의 서사 세계로 진입하여 현재 시제로 함께 경험하도록 돕는다. 본문의 현재 시제 시뮬레이션은 (단, 결정하거나 강요하지는 않지만) 이러한 경험들이 현재의 코이노니아, 즉 새 언약 공동체를 정착시키고 활성화할 수 있는 기억이 되도록 한다.

This study uses an array of cognitive linguistics methods to show how embodied cognition is displayed in the Markan and Pauline eucharistic texts, as well as to consider some ways embodied cognition enables and animates modern readers’ interpretations. A suite of related cognitive linguistic models is presented and deployed: embodied simulation; conceptual Ground; mental spaces, networked and blended; image schemas; conceptual metaphor; semantic frames; and frame metonymy. Embodied cognition allows three things to happen. First, it animates the analogical thinking necessary for biblical interpretation and theological reflection. At the same time, the processes of embodied cognition allow modern Bible-reading communities to enter the narrative worlds of these ancient texts and experience them together in the present tense. Present-tense simulation of the texts allows (but does not determine or force) these experiences to become memories that can anchor and enliven current koinōnia, the community of the new covenant.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