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5325/jtheointe.11.2.0199
하갈은 기독교 신학에서 어떤 위치를 가져야 하는가? 한편으로, 그녀는 성경에서 여호와의 천사가 나타난 첫 사람이다. 그녀는 심지어 자신을 만난 “보시는 하나님”을 명명한다(창 16:13). 다른 한편으로, 하갈은 종살이로 이끄는 율법의 상징이며, 그리스도의 자유 안에서 사는 자들은 그녀를 내쫓아야 한다(갈 4:29). 필자는 그리스도인들이 하갈의 신학적 위치를 그리스도와의 관계 속에서, 그리고 창세기 하갈 이야기의 영적 독서를 통해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창세기 16:1-16과 21:8-21의 이야기들과 출애굽 사건 기록들 사이의 문학적 상응성은 하갈의 고난 중에 하나님께서 그녀의 탄원을 들으신 것이 이스라엘과 그리스도 안에서 세상에 대한 하나님의 구원을 예표한다고 시사한다. 바울이 이스라엘 백성이 광야에서 그리스도로부터 마셨고 바다를 건너며 세례를 받았다고 묘사하듯이(고전 10:1-4), 하갈 또한 광야에서 그리스도를 경험하였다. 따라서 그리스도인의 영적 독서는 하갈이 성령이 부재한 순전히 인간의 노력을 대표하는 한에서 그녀를 교회 밖으로 내쫓을 수 있으나, 동시에 그녀를 성령에 의해 그리스도 안에서 변화된 긍정적인 예로 볼 수도 있다.
What place should Hagar have in Christian theology? On one hand, she is the first person in Scripture to whom an angel of the Lord appears; she even names the “God of Seeing” who meets her (Gen 16:13). On the other hand, Hagar is a symbol of the law that leads to slavery, and those who live in the freedom of Christ should cast her out (Gal 4:29). I argue that Christians should conceive of Hagar's place in theology in relation to Christ and through spiritual reading of the Hagar narratives in Genesis. Literary correspondence between the narratives in Gen 16:1–16 and 21:8–21 and accounts of the exodus suggests that God's heeding of Hagar in the midst of her affliction anticipates God's deliverance of the Israelites and of the world in Christ. As Paul describes the Israelites as having drunk from Christ in the wilderness, and receiving baptism in crossing the sea (1 Cor 10:1–4), so Hagar also experienced Christ in the wilderness. Thus, Christian spiritual reading may cast Hagar out of the church, insofar as she represents merely human effort devoid of the Holy Spirit, but it may also view her as a positive example of transformation in Christ by the Spir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