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5325/jtheointe.15.2.0262
본 논문에서는 서사와 은유 연구에 기반한 접근법을 활용하여 누가의 죽은 자들의 부활 개념을 탐구한다. 베드로의 오순절 설교 두 번째 부분(사도행전 2:22–36)에 명시된 예수의 부활 이야기에 초점을 맞춘다. 특히 부활 개념화의 핵심이 되는 구절인 'λύσας τὰς ὠδῖνας τοῦ θανάτου/ᾅδου (2:24)'의 가능한 해석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인다. 본문이 가진 다차원적인 이미지에 대해 일반적으로 제시되는 두 가지 해석을 분석하고, 그러한 해석들을 뒷받침하는 가능한 개념적 틀을 고찰한다. 이어서 해당 구절과 산고(産苦) 맥락에서 비롯된 그 뉘앙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죽은 자들의 부활을 개념화하는 두 가지 독특한 방식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목표는 이 난해하고 저평가된 본문에 목소리를 부여하고, 그것을 복음으로 상상할 가능성을 확장하는 것이다.
In this article, I will use an approach that draws on the study of narrative and metaphor to investigate Luke’s concept of the resurrection from the dead. I will focus on the story of Jesus’s resurrection as articulated in the second part of Peter’s Pentecost speech (Acts 2:22–36), giving special attention to the possible interpretations of the phrase lysas tas ōdinas tou thanatou/hadou (2:24), upon which the conceptualization of resurrection hinges. I will analyze two commonly articulated interpretations of this text’s multi-dimensional imagery and reflect on possible conceptual frameworks that support those interpretations. Then, I will offer two distinct ways of conceptualizing the resurrection from the dead based on my understanding of the phrase and its nuances that come from the context of labor. My goal is to give voice to this puzzling and underappreciated text and to expand possibilities for imagining it as goo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