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5325/jtheointe.15.2.0305
학자들이 바울이 그리스도의 승천을 가정한다고 인정할지라도, 이는 바울 연구에서는 거의 주목받지 못했다. 이 논문은 고린도후서를 승천을 네 가지 차원에서 이해하는 관점으로 살펴본다. 우주론적으로, 그리스도는 하늘로 승천하여 부재하지만, 지상에서 접근 가능함을 보인다. 이는 고린도후서에서 그리스도에게서 떨어져 그를 갈망하는 모습과, 하나님과 함께 계시는 그리스도의 임재에 대한 선취적 참여의 다양한 징후들로 나타난다. 기독론적으로, 그리스도께서 선지자, 제사장, 왕으로서 좌정하심이 그의 완성된 사역을 이어가는데, 이는 고린도후서에서 바울 안에서 말씀하시는 그리스도, 고린도 교인들의 그리스도의 통치 안으로의 기름부음, 그리고 그리스도의 제사장적 '아멘'에 대한 우리의 참여로 시사된다. 인류학적으로, 예수님의 승천은 인류의 목표를 상정하는데, 이는 고린도후서에서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예수님의 영광, 우리의 필멸의 몸에서 가시화된 그의 부활 생명, 그리고 수수께끼 같은 '손으로 짓지 아니한 건물'로 시사된다. 종말론적으로, 그리스도의 승천은 시대들의 중첩을 창조하며, 이는 고린도후서에서 새로운 것, 현재, 그리고 바울이 서 있는 바로 그 근거이자 그가 나아가는 목표인 바울의 사도적 정체성에 대한 초점에서 가시화된다.
While scholars might acknowledge that Paul assumes Christ’s ascension, it has been all but invisible in Pauline studies. This article looks at 2 Corinthians through the lens of ascension understood in four dimensions. Cosmologically, Christ has ascended into heaven and so is absent, yet accessible on earth. This is seen in 2 Corinthians as being away from and longing for Christ, and in various signals of proleptic participation in Christ’s presence with God. Christologically, Christ’s session as prophet, priest, and king continues his completed work, signaled in 2 Corinthians by Christ speaking in Paul, the Corinthians’ chrismation into Christ’s reign, and our participation in Christ’s priestly “Amen.” Anthropologically, Jesus’s ascension envisions humanity’s goal, signaled in 2 Corinthians in Jesus’s glory as the image of God, his risen life made visible in our mortal bodies, and the enigmatic “building not made with hands.” Eschatologically, Christ’s ascension creates the overlap of ages, visible in 2 Corinthians’ focus on the new, on the now, and on Paul’s apostolic identity, the very ground on which Paul stands and the goal toward which he go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