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5325/jtheointe.13.1.0076
라칭거의 『나자렛 예수』 3부작에 대한 회고적 연구는 최근 성경학 연구와 더불어 그의 복음서 해석학적 통찰의 가치를 밝힌다. 본 논문은 그가 그 저작에서 강조하는 세 가지 원칙을 고찰한다. 첫째 원칙은 복음서의 역사적 신뢰성에 대한 라칭거의 이해와 관련된다. 이는 리처드 바우컴이 복음서를 '해석된 역사'로 묘사하는 방식, 특히 그들의 관점과 비교된다. 누가복음의 인구조사(눅 2:2)에 대한 간략한 논의가 예시로 포함된다. 둘째 원칙은 라칭거의 두 단계 해석학에 관한 것으로, 이는 역사-비평적 탐구와 교부학적 주석을 결합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보나벤투라에 대한 그의 초기 저작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예시로 선한 사마리아인과 탕자의 비유에 대한 우화적 해석이 현대 학자들의 작업과 비교 검토된다. 셋째 원칙은 성인들의 삶이 제공하는 복음서 텍스트의 수행적 또는 살아있는 해석에 관한 것이다. 이 원칙은 최근 학계에서도 반향을 일으키며, 해석자에게 함의를 지닌다.
A retrospective study of Ratzinger’s Jesus of Nazareth trilogy, done in conversation with recent biblical scholarship, reveals the value of his hermeneutical insights on the Gospels. This article considers three principles that he emphasizes in the work. The first involves Ratzinger’s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trustworthiness of the Gospels. It is compared to that of Richard Bauckham, especially with regard to their description of the Gospels as interpreted history. A brief discussion of the Lukan census (Luke 2:2) is included as an example. The second principle concerns Ratzinger’s two-stage hermeneutic, which combines historical-critical investigation with patristic exegesis, an approach traceable to his early work on Bonaventure. As examples, the allegorical interpretation of the parables of the good Samaritan and prodigal son are reviewed in comparison with the work of contemporary scholars. The third principle regards the performance or living exegesis of Gospel texts provided by the lives of the saints. This principle, which also has echoes in recent scholarship, has implications for the interpre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