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1163/15685365-bja10101
본 논문은 요한복음이 기원후 66년 이전에 저작되었다는 새로운 논거에 기초한다. 이를 통해 요한복음의 이른 저작 연대와 누가복음의 늦은 저작 연대(기원후 93/94년~130년)가, 오랫동안 인정되어 온 요한복음과 누가복음 간의 특별하고 축어적인 평행 구절들의 의존 관계 방향을 정립함을 주장한다. 이 평행 구절들이 어떻게 요한의 논증에서 핵심적인 부분이 되는지, 그리고 누가가 어떤 방식과 이유로 그것들을 활용했는지를 보여준다. 이는 또한 마태복음과 마가복음이 이 새로운 연대기적 틀 안에서 어떻게 자리매김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제기한다. 본 논문은 마태복음의 소위 ‘요한의 하늘에서 떨어진 벼락’ 구절이, 예수께서 부활 후 막달라 마리아에게 나타나신 장면에 대한 요한의 서술과 더불어, 실제로 요한복음에서 파생되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마가복음은 요한복음과 거의 비슷한 시기에 저작된 것으로 보이며, 그 결과 마가 저자는 요한복음을 알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대 재배열이 갖는 또 다른 함의는 Q 자료(Quelle)의 존재를 더 이상 가정할 필요가 없어진다는 점이다.
Based on new arguments for a pre-66 CE dating of John’s Gospel, this article argues that John’s early date and Luke’s late date (between 93/94 and 130 CE) establish the direction of dependency in the special, verbatim Johannine–Lukan parallels which have long been recognized. It shows how these parallels are part and parcel of John’s argument, and how and why Luke made use of them. This also raises the question of how Matthew and Mark fit within this new chronological framework. The article suggests that Matthew’s “thunderbolt from the Johannine sky” is indeed derived from John, together with John’s narration of Jesus’ post-resurrection appearance to Mary Magdalene. Mark’s Gospel, however, seems to have been written around the same time as John’s Gospel, so that Mark was not familiar with John. Another implication of this rearrangement is that the presumption of the source Q is no longer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