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421445
나는 그레고리우스 니사에우스가 빌립보서 2장의 그리스도 찬가를 새로운 신학적 해석을 통해 로고스-살크스 신학적 모티프를 재구성했다고 주장한다. 아폴리나리우스를 반박하는 그의 논증에서 그레고리우스는 초기 니케아 옹호론자들의 주석 전통에 의존하는데, 이는 원래 350년대에 힐라리우스 포아티에와 같은 신학자들이 반니케아적인 호모이우스파에 맞서 형성된 것이다. 이 주석 전통은 빌립보서 2장 6-7절에 집중되었으며, 호모이우스파가 성자의 신성과 인성 간의 구별을 이용하여 성자를 아버지에게 종속시키려는 시도에 맞서 성자의 신성과 인성의 통일성을 증명하고자 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그레고리우스가 아폴리나리우스의 신학에 문제를 제기하는 이유는 아폴리나리우스의 신학이 그레고리우스가 상속받은 니케아 옹호 전통의 핵심적인 요소, 즉 성자 안에서 완전한 신성과 인성의 연합을 보존해야 할 필요성을 위반하기 때문이다. 이것이 없다면, 그레고리우스는 니케아 옹호 신앙과 실천의 핵심적인 측면, 특히 신화(divinization)에 대한 설명이 무너진다고 믿는다. 빌립보서 2장을 사용하여 새로운 신학적 모티프를 구성함으로써, 그레고리우스는 깊은 주석적 뿌리를 가지며 로고스-살크스 모델의 한계를 극복하는 기독론을 명확히 제시할 수 있다.
I argue that Gregory of Nyssa reshaped the Logos-Sarx theological motif through his use of a new theological exegesis of the Christ Hymn in Phil 2. In his argument against Apollinarius, Gregory draws on an earlier Pro-Nicene exegetical tradition, one that was originally formulated in the 350s against the anti-Nicene Homoians by theologians such as Hilary of Poitiers. This exegetical tradition centered on Phil 2:6-7, and it was intended to demonstrate the unity of the Son's divinity and humanity against Homoian attempts to use the distinction between divinity and humanity in the Son to subordinate the Son to the Father. In this reading, Gregory's problem with Apollinarius is that Apollinarius's theology violates something central to the Pro-Nicene tradition that Gregory had inherited, namely, the need to preserve the union of the full divinity and humanity in the Son. Without this, Gregory believes, key aspects of Pro-Nicene faith and practice, especially its account of divinization, fall apart. By using Phil 2 to construct a new theological motif, Gregory can articulate a Christology that has deep exegetical roots and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Logos-Sarx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