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울의 영광 안에서의 승리 신학: 부활과 십자가의 연합

Paul’s Theology of Triumph in Glory: Resurrection and Cross United

https://doi.org/10.5325/jtheointe.18.2.0263

바울의 영광의 승리 신학은 해석자들 사이에서 널리 간과된다. 이러한 간과는 그의 사상에서 예수의 부활이 예수의 십자가와 어떻게 관련되는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 본고는 바울의 신적 영광에 대한 관점을 바탕으로 그들의 관계를 설명한다. 이는 예수의 부활과 십자가 모두가 신적 영광에 대해 본질적인 가치를 지닌다고 옹호하며, 그의 십자가가 부활을 위한 단순한 수단이라는 견해에 반대한다. 바울은 고린도 교인들에게 “내가 너희 가운데서는 예수 그리스도와 그가 십자가에 못 박히신 것 외에는 아무것도 알지 아니하기로 작정하였노라” (고린도전서 2:2)고 말한다. 이 발언은 흔히 “영광의 신학”, “승리의 신학”, 또는 “부활의 신학”과 대비되는 “십자가 신학”으로 이어졌다. 본고는 그러한 대조가 오해를 불러일으키며, 바울의 신학이 십자가 신학과 부활 및 영광 신학에 대한 통일된 접근을 요구한다고 주장한다. 두 신학 사이의 제안된 대조는 바울의 “예수 그리스도와 그가 십자가에 못 박히신 것”에 대한 발언과 모순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바울은 십자가에 못 박히신, 부활하고 영광스러운 그리스도, 즉 “영광의 주” (고린도전서 2:8)를 염두에 두고 있기 때문이다. 신적 영광과 그리스도의 영광은 십자가의 영광을 보존하면서도 그것을 능가한다. 본고는 십자가 신학에 대한 에른스트 케제만(Ernst Käsemann)의 영향력 있는 견해 중 일부를 명확한 대비물로 활용한다.

Paul’s theology of triumph in glory is widely neglected among interpreters. The neglect hinders understanding of how, in his thought, the resurrection of Jesus is related to the cross of Jesus. This article offers an explanation of their relation on the basis of Paul’s perspective on divine glory. It defends the intrinsic value of both the resurrection and the cross of Jesus for divine glory, opposing the view that his cross is a mere means to his resurrection. Paul remarks to the Corinthian Christians: “I decided to know nothing among you except Jesus Christ and him crucified” (1 Cor 2:2). This remark has led to a “theology of the cross” that is often contrasted with a “theology of glory,” a “theology of triumph,” or a “theology of resurrection.” This article argues that such a contrast is misleading and that Paul’s theology calls for a unified approach to a theology of the cross and a theology of resurrection and glory. A suggested contrast between the two theologies does not contradict Paul’s remark about “Jesus Christ and him crucified” because Paul has in mind the risen, glorified Christ who was crucified, “the Lord of glory” (1 Cor 2:8). Divine glory and the glory of Christ exceed the glory of the cross while preserving the latter. The article uses some influential views of Ernst Käsemann on a theology of the cross as a clarifying foil.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