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373865
교회의 데살로니가후서 2:3-12절 수용 과정에서, "불법의 사람"은 전통적으로 "적그리스도"라는 인물과 동일시되었으며, 이는 종종 그리스도와 적그리스도 사이의 엄격한 평행 관계 발전을 특징으로 하는 "반(反) 그리스도론"의 일부가 된다. 이 평행 관계 속에서 적그리스도는 그리스도의 반대편 복제본으로 여겨진다. 이레네오는 이중 요약이라는 기본적인 해석 틀을 사용하여 이러한 평행 관계를 발전시킨다. 이 논문의 목적은 데살로니가후서 2:3-4절의 특정 본문적 특징들이 더 넓은 바울 서신 맥락 안에 놓이고, 인간의 오만을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구약의 궤적(예: 에스겔 28장)에 비추어 해석될 때, 이러한 기본적인 이중 요약 해석 패턴이 적절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이 논문은 실제로 정경적 논리, 즉 바울의 서술 및 개념적 패턴(특히 데살로니가후서 2:3-4절과 빌립보서 2:6-11절, 그리고 로마서의 구절들을 비교할 때 드러나는)이 존재하며, 이는 불법의 사람이 그리스도가 뒤집는 것의 정점을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근거로 볼 때, 일부 현대 주석가들이 주저함에도 불구하고 불법의 사람은 "적그리스도"라고 불리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그는 또한 반인간적이며, 반신적이며, 반거룩하다.
In the church's reception of 2 Thess 2:3–12 the "man of lawlessness" has traditionally been identified with the figure of "Antichrist" as part of an "anti-Christology" often characterized by the development of a strict parallelism between Christ and Antichrist, where one is the reverse replica of the other. Irenaeus develops this parallelism using a basic interpretive framework of double recapitula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how that certain textual features of 2 Thess 2:3–4, when situated within the larger Pauline corpus and interpreted in light of an intertextual OT trajectory that epitomizes human arrogance as it is embodied by archetypal kings (e.g., Ezek 28), suggest that this basic interpretive pattern of double recapitulation is on the mark. More specifically, the article demonstrates that there is indeed a canonical logic, a Pauline narrative and conceptual pattern (seen particularly in comparing 2 Thess 2:3–4 to Phil 2:6–11 and to passages from Romans), that reveals that the man of lawlessness represents the pinnacle of what Christ reverses. On that basis, the man of lawlessness is appropriately referred to as "Antichrist" in spite of the reluctance of some modern commentators to do so. As such, he is thereby also antihuman, anti-God, and antiholi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