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울은 갈라디아 여정 동안 어떻게 생계를 유지했는가? 본 논문은 바울이 로마의 물자 징발 관행과 유사한 방식으로 갈라디아 지역 공동체에 부담을 지우고 짐이 되었다는 나스랄라(Nasrallah)의 주장을 반박한다. 대신 갈라디아인들이 비강압적으로 바울을 주인처럼 환대하며 그와 상호적 관계를 발전시켰다고 주장한다. 먼저 로마의 징발과 고대의 환대라는 사회적 관행을 바울의 갈라디아 여정을 해석하기 위한 적절한 비교 대상으로 고찰한다. 그다음, 갈라디아인들과 맺은 바울의 초기 관계가 지닌 사회경제적 측면을 분명히 해주는 두 종류의 증거를 검토한다. 이는 곧 갈라디아인들과의 첫 만남에 대한 바울의 회상(갈 4:12-20)과 바울에 대한 갈라디아인들의 반응에 관한 후대 전승이다. 이 증거들은 바울과 갈라디아인들의 관계가 강요적이거나 부담을 주는 것이 아니라, 필시 환영받는 상호적 관계였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역사적 재구성은 바울이 이후에 쓴 서신의 맥락을 제공하며, 갈라디아서 해석에 영향을 미친다.
How did Paul subsist during his travels in Galatia? This article contests Nasrallah’s claim that Paul placed burdens and imposed upon the local communities in Galatia in a manner akin to the Roman practice of requisitioning supplies and argues that the Galatians non- coercively welcomed Paul as a host and developed mutual relations with him. We first consider the social practices of Roman requisitions and ancient hospitality as suitable comparanda for interpreting Paul’s travel in Galatia. Then we examine two types of evidence clarifying the socio-economic aspects of Paul’s initial relationship with the Galatians – i.e., Paul’s recollections of his initial encounter with the Galatians (Gal 4:12-20) and subsequent traditions regarding the Galatians’ response to Paul. The evidence suggests that Paul’s relationship with the Galatians was, most probably, welcomed and mutual, not imposing or burdensome. This historical reconstruction contextualises Paul’s subsequent letter and bears upon interpretations of Galati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