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울 윤리 발굴: 더글러스 캠벨의 관점에서 본 창조, 구원, 그리고 그리스도인의 도덕적 삶

Unearthing Paul's Ethics: Douglas Campbell on Creation, Redemption, and the Christian Moral Life

https://doi.org/10.5325/jtheointe.11.2.0259

본 논문은 더글러스 캠벨의 갈라디아서 3장 28절에 대한 주해와 해석에 비추어 기독교 윤리의 적절한 근거에 대한 그의 설명을 검토하고 비판한다. 본 논문은 그의 제안에 대한 세 가지 난점을 제기함으로써 이를 수행한다. 첫째, 그의 주장을 면밀히 검토하면 현 상태에서 내적 일관성이 부족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둘째, 캠벨의 프로젝트는 윤리적 신념 형성의 원천을 제한하는 것으로 가장 잘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한은 윤리학자에게 건설적인 윤리적 성찰을 위한 불충분한 자원을 남긴다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갈라디아서 3장 28절에 대한 그의 독해가 그의 최근 에세이 "종말론적 인식론(Apocalyptic Epistemology)"에서 발전된 사상과 상당한 긴장을 보이며, 전통적인 성육신 설명과도 양립할 수 없어 보임을 보여준다. 캠벨의 제안이 바울 윤리 연구의 현대적 경향들, 즉 종말론 지향, '자연 신학'에 대한 의심, 그리고 바울 복음의 해방적 요소 강조와 같은 여러 공통적인 궤적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결론은 바울 윤리에 대한 향후 연구에 중요한 함의를 지닌다. 특히 우리의 삶의 범주와 그리스도 안에서의 우리의 정체성 간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에 대하여 그러하다.

This article will examine and critique Douglas Campbell's account of the proper grounds for Christian ethics in light of his exegesis and interpretation of Gal 3:28. It will do so by raising three difficulties for his proposal. First, a close reading of his argument will show that as it stands it suffers from a lack of internal coherence. Second, it will show that Campbell's project is best understood as a restriction of the sources for ethical belief formation and then argue that this restriction leaves the ethicist with insufficient resources for constructive ethical reflection. Finally, it will show that his reading of Gal 3:28 shows considerable tension with the development of his thought in his recent essay, “Apocalyptic Epistemology” and also appears to be incompatible with traditional accounts of the incarnation. Inasmuch as Campbell's proposal reflects a number of common trajectories in contemporary studies of Pauline ethics—a turn toward eschatology, a suspicion of “natural theology,” and an emphasis on the liberational elements of Paul's gospel—the conclusions of this article have salient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in Pauline ethics, particularly on the continuities and discontinuities between the categories of our lived existence and their relation to our identity in Christ.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