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신약학자들에게 주목을 끌지 못했던 고전 시대와 헬레니즘 시대의 우주론의 한 측면을 탐색하며, 갈라디아서와 관련된 우주론적 함의를 고려한다. 본 논문의 3장에서 우리는 다음의 두 결론에 이른다. 첫 번째로 고전 시대와 헬레니즘 시대의 많은 저자들은 천상적 원소와 지상적 원소를 구분한다. 두 번째로 그들은 천상적 원소는 순수하고 영원하며 지상의 원소보다 우월하다고 빋었고 지상의 원소는 부패하고 소멸한다고 생각했다. 4장에서, 본 논문은 갈라디아서 4:3의 세상의 초등학문(ta stoiceia tou kosmou)이 우주론적 이원론의 문맥에서 사용되었으며, 세상의 초등학문의 개념은 우주론적 개념에서 지상적 원소를 지칭하고, 또한 바울이 천상적 원소와 지상적 원소를 구분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러므로 ta stoiceia tou kosmou의 개념은 성령에 의해서 천상적 물질로 변화되거나 재창조되지 않은 옛 시대에 속한 지상적 현실과 물질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Reconstructing Paul’s Physics - Paul’s Cosmic Dualism and ta stoiceia tou kosmou - Kyu Seop Kim (Daeshin University) This article explores the theories of element in the Classical and the Hellenistic world which have not attracted the careful attention that they deserve, considering their cosmological implications in Galatians. In section 3, we reach the two subsequent conclusions. First, some ancient authors distinguished the celestial elements from the terrestrial elements in Classical and Greco-Roman literature. Secondly, they believed that the celestial element is pure, eternal and superior to the terrestrial elements, which are perishable and changeable. In section 4,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phrase ta stoiceia tou kosmou in Gal 4:3 is used in the context of the cosmic dualism, and that the notion of ta stoiceia tou kosmou implies that Paul distinguishes the heavenly substance from the earthly elements. So, the concept of ta stoiceia tou kosmou refers to the perishable (cf. Gal 4:9) elements of the present earthly world in the old aeon which has yet to be transformed or re-created into the heavenly substance by the Holy Spir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