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421450
이 논문은 주로 우화적/비유적 해석과 성경의 소위 문자적 의미 사이의 관계와 관련된 전제들을 다룬다. 갈라디아서 4장 21-31절에 나오는 바울의 우화적 호소는 여기서 다루는 주요 주제들의 예시가 될 것이다. 이 논문은 바울의 우화적 호소를 기독교 교회의 비유적 성경 해석 전통 안에 분명하게 위치시키고자 한다. 브레바드 차일즈의 용어를 빌려, 바울의 사라/하갈 이야기에 대한 우화적 해석이 구약성경에 대한 기독교적 해석의 "가족 유사성"에 부합하는지 질문할 것이다. 이 연구의 중심에는 두 가지 질문이 있다. (1) 유형론과 우화는 어떤 관계인가? (2) 문자적 의미(sensus literalis)와 비유적 해석은 어떤 관계인가? 이 두 가지 핵심 질문으로부터 세 번째 질문이 파생된다. 바울의 우화적 해석을 창세기 이야기의 "문자적 의미" 해석이라고 부를 수 있는가?
This article deals primarily with presuppositions associated with allegory/figural reading and its relationship to what we might call the plain sense of Scripture. Paul's allegorical appeal in Gal 4:21–31 will serve as an illustration of the major themes addressed. This article seeks to place Paul's allegorical appeal squarely within the church's exegetical tradition of figural reading. Drawing on the terminology of Brevard Childs, it will query whether Paul's allegorical reading of the Sarah/Hagar story fits within the "family resemblance" of Christian reading of the OT. Two questions are central to this inquiry: (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ypology and allegory?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us literalis and figural reading? Following from these two central questions is a third: Can Paul's allegorical reading be called a "plain sense" reading of the Genesis narra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