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구스티누스의 『기독교 교양론』에 기반을 둔 교회적 위치의 성경 해석

An Ecclesially Located Exegesis Informed by Augustine's "De Doctrina Christiana"

https://doi.org/10.2307/26421413

이 논문은 기독교적 해석 패러다임이 어떤 모습일 수 있는지에 대한 예시로 시작한다. 이를 위해 아우구스티누스의 『기독교 교리』(De Doctrina Christiana, DDC)를 참조하며, DDC가 선험적인 신학적 확신을 가진 해석학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아우구스티누스의 교회론적 위치에 기반한 성경 해석 틀은 (1) 겸손하고 순종적이며 덕이 있는 독자를 요구하고, (2) 저자의 소통 의도를 매우 중요하게 여기지만, (3)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의성에 열려 있으며, (4) 믿음의 규칙, 이중 사랑 계명, 그리고 더 명확한 정경 본문에 호소하여 해석을 제한하는 해석학을 낳는다. DDC에서 얻은 통찰력은 Räisänen과 Stendahl의 해석학적 패러다임과 대화로 이어진다. 간단히 말해서, 아우구스티누스는 기독교 신앙의 관점에서 성경을 읽는 반면, Räisänen은 소위 중립적인 관점에서 읽으려고 시도하기 때문에 아우구스티누스의 해석학은 Räisänen의 해석학과 충돌한다. Stendahl의 저자 의도에 대한 배타적인 특권 부여와 관련하여, 교회론적 위치에 기반한 신학은 (1) 신약 성경 저자들이 구약 성경 저자의 의도를 넘어 구약 성경을 읽는 것처럼 보이는 방식과 (2) 오직 성경만으로는 중요한 신학적 교리를 결정할 수 없다는 점 때문에 Stendahl에 도전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 논문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아우구스티누스의 다의적 해석을 제한하는 접근 방식이 Max Turner, Richard Hays, Joel Green, Stephen Fowl, A. K. M. Adam, Richard Briggs 등을 포함한 현대 신학적 해석자들이 제공하는 많은 강점을 어떻게 함께 묶는지 주목한다. DDC를 대화에 참여시킴으로써 이 논문이 성경 해석에서 다의성을 허용하면서 동시에 제한하는 어려운 과제에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This article opens with an example of what a Christian interpretive paradigm might look like. For help with this, it turns to Augustine's De Doctrina Christiana (DDC), which will be shown to have a hermeneutic with a priori theological convictions. Augustine's ecclesially located exegetical framework results in a hermeneutic that (1) calls for humble, submissive, and virtuous readers; (2) highly values authorial communicative intent; (3) is nonetheless open to polysemy; and (4) delimits interpretations by appealing to the rule of faith, the double love commandment, and clearer canonical texts. Insights from DDC are then brought into conversation with the hermeneutical paradigms of Räisänen and Stendahl. In brief, Augustine's hermeneutic clashes with Räisänen's, because Augustine reads Scripture from the standpoint of Christian faith, whereas Räisänen attempts to read from a so-called neutral standpoint. Regarding Stendahl's exclusive privileging of authorial intent, an ecclesially located theology would seem to challenge Stendahl because of (1) how NT writers often seem to read OT texts beyond the intent of the OT author, and (2) the inability of sola scriptura to determine crucial theological doctrines. The last section of this article notes how Augustine's approach to delimiting polysemic interpretations holds together many of the strengths offered by contemporary theological interpreters, including Max Turner, Richard Hays, Joel Green, Stephen Fowl, A. K. M. Adam, Richard Briggs, and others. The hope is that, by bringing DDC into the conversation, this article can contribute to the elusive task of making room for, while simultaneously bounding, polysemy in biblical interpretation.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