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1163/15685179-bja10034
이 논문은 4QMMT에 나타난 왕의 모티프 네 가지를 다룬다. 1. 왕정 시대 역사 속의 축복과 저주 (C 18–20). 2.이스라엘 왕들의 행적을 성찰하라는 요청 (C 23b–24). 3.다윗 왕과 관련된 기록을 연구하라는 요청 (C 10). 4. 다윗의 행적을 성찰하라는 요청 (C 25–26). 이러한 모티프들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른다. 이 모티프들은 수신자에게 이스라엘의 왕들을 역할 모델(role models)로 보여주려는 의도뿐만 아니라, 신명기 구절 인용과 엮임으로써 또 다른 목적을 수행한다. 즉, 율법에 예고된 축복과 저주(신 28–30)의 진실성을 증언하는 역사적 증거로 기능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스라엘에서 율법이 여전히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상황의 심각성을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The paper discusses four motifs of the king in 4QMMT: (1) blessings and curses in the history of the monarchy (C 18–20); (2) call to reflect on the deeds of the kings of Israel (C 23b–24); (3) call to study the writings related to King David (C 10); and (4) call to reflect on David’s deeds (C 25–26). The analysis of these motifs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they were not only intended to show the addressee the kings of Israel as role models, but by intertwining them with quotations from the Book of Deuteronomy, they were also to serve as historical evidence that would testify to the veracity of the blessings and curses foretold in the Law (Deut 28–30), and as a result, underline the seriousness of the situation in which the Law was still not properly obeyed in Isra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