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421438
이 연구는 3세기에 요한복음 10장 30절에 대한 주석을 철저히 조사한다. 요한복음 10장 30절은 노에투스 스미르나와 칼리스투스 로마와 같은 군주신론자들과 히폴리투스, 테르툴리아누스, 노바티아누스와 같은 반군주신론자들 사이에서 그 의미가 다투어졌던 구절이다. 연구는 이 논쟁 과정에서 그리스-로마 문법적 독해 기법이 우월한 주석의 기준으로 기능하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군주신론자들이 문법적 독해 기법을 몰랐던 것은 아니지만, 반군주신론자들은 이러한 기법들을 특정한 방식으로 선택하여 매우 능숙하게 사용했기에 그들의 요한복음 10장 30절에 대한 주석은 3세기 중반까지 표준적인 해석이 되었고, 같은 구절에 대한 군주신론자들의 해석은 시대에 뒤떨어진 것으로 만들었다. 키프리아누스, 오리게네스, 디오니시우스 로마와 같은 3세기 중반의 저자들은 의심 없이 반군주신론자들의 해석을 받아들였으며, 이는 그들의 선배들의 문법적 주석 방법이 성공적이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provides an exhaustive survey of the exegesis of John 10:30 in the third century, a verse whose meaning was contested between monarchians (such as Noetus of Smyrna and Callistus of Rome) and antimonarchians (such as Hippolytus, Tertullian, and Novatian). It argues that in the course of this debate Greco-Roman grammatical reading techniques came to function as the criteria for superior exegesis. Although monarchians were not ignorant of grammatical reading techniques, anti-monarchians employed a particular selection of these techniques with such skill that their exegesis of John 10:30 became standard by the middle of the third century, rendering the monarchian interpretation of the same verse obsolete. Mid-third-century authors such as Cyprian, Origen, and Dionysius of Rome adopted the antimonarchian interpretation without question, showing the success of the grammatical exegetical methods of their predecess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