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를 귀츨라프는 한국에 와서 기독교를 전한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였다. 그러나 그의 삶은 다른 어떤 선교사보다 서세동점의 제국주의 침략과 더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1827년 네덜란드 선교회에서 파송 받아 인도네시아에 온 그는 처음부터 중국선교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1831년 마카오에 정착했다. 마카오에 진출하여 독립선교사가 된 귀츨라프는 이후 영국 정부 및 상인들에게 고용되어 일했다. 1832년 그가 한국에 올 때 타고 왔던 “로드 앰허스트”호는 영국 동인도회사가 상업적, 외교적, 군사적 목적으로 파견한 배였다. 귀츨라프의 생애 가운데 가장 문제되는 것은 그가 1832년부터 수년 동안 당시 동아시아 최대의 아편밀수상이었던 자다인-매트슨 상사에 고용되어 아편밀수에 가담했다는 사실이다. 귀츨라프는 아편밀수선 통역으로서 아편밀수에 열정적으로 가담했다. 이후 그는 영국정부에 고용되어 통역, 정보책임자, 식민정부 관리로 일했다. 특이한 점은 그가 그런 세속적 삶을 살면서 선교사로서도 열심히 일했다는 사실이다. 그는 고귀함과 저속함이 공존하는 독특한 성품을 가졌으며, 성(聖)과 속(俗)이 뒤섞인 삶을 살았다.
Karl Gützlaff was the first Protestant missionary who came to Korea for evangelistic purposes. However, his life was more closely related to Western imperialism than any other missionary. Gützlaff first came to Indonesia in 1827 as a missionary from the Netherlands Missionary Society. Yet, from the beginning, he wanted to work for the Chinese and settled in Macau in 1831. Gützlaff worked for the British government and merchants throughout his carrier as an independent missionary. The Lord Amherst, on which he came to Korean shores, was despatched by the British East India Company for commercial, diplomatic, and military purposes. Further, Gützlaff was actively involved in illegal opium traffic on board the opium ships of the Jardine, Matheson, and Co., the largest opium trader in East Asia. He performed his role as an interpreter of opium ships with passion. Then he worked for the British government as an interpreter, an information officer, and a colonial administrator. Of note is that Gützlaff continued his missionary activities while being engaged in "secular" jobs. His character was a mixture of the noble and the mean, and his life was a mixture of the sacred and the profa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