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 내 하이브리드 조직: 공적 참여를 위한 전략으로서의 하이브리드 교회

Hybrid Organization in the Church: Hybrid Church as a Strategy for Public Engagement

https://doi.org/10.1163/15697320-01540019

하이브리드 교회(Hybrid churches)는 공적 참여를 위해 세속적 공공 공간 안에서 장소와 역할을 창출하고자 일부 지역의 사업 관행과 정체성을 채택한다. 그들은 공적 참여, 담론, 목표, 목적의 기반에 도전하기 위해 환대(hospitality)와 대사직(embassy)을 사용한다. 환대 및 대사직과 결합된 하이브리드 조직은, 전통적인 공공 담론과는 다른 대안적 소통 기반에 따라 참여와 담론이 이루어질 수 있는 대안적 공공 공간의 창출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세속적인 공적 현존과 담론의 관행을 의도적으로 비판하기 위함이다.

Hybrid churches adopt some local business practices and identities in order to create a place and role in secular public space for a public engagement.1 They use hospitality and embassy to challenge the basis of public engagement, discourse, objectives and goals. Hybrid organization alongside hospitality and embassy enables the creation of alternative public spaces in which engagement and discourse may take place according to an alternative communicative base to conventional public discourse, intentionally to critique secular conventions of public presence and discourse.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