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말 한국에 온 개신교 선교사 중 일부는 선교 사업을 수행하는 가운데 한국의 언어와 문화․역사에 큰 관심을 보였다. 그들은 선교 대상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그치지 않고 문자 그대로 학문적인 차원에서 접근하여 각자가 공부한 내용을 발표하였으며, 1900년에는 왕립아시아학회(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한국지부를 창설함으로써 본격적인 한국학 연구의 장을 마련하였다. 그들이 남긴 성과는 이후 한국을 연구하려는 사람들에게 중요한 자료가 되었으며, 왕립아시아학회 한국지부는 세계 각국에 기관지를 발송하고 관련 학회들과 교류하면서 수십 년간 서구 한국학의 중심 기관으로 기능하였다. 본 논문은 19세기 말부터 현재에 이르는 서구 한국학 연구자들의 인적 및 학문적 관계도를 그려 보려는 장기 작업의 하나로, 국내에서 최초의 한국학 연구 그룹을 형성한 이 ‘선교사 겸 학자(missionary and scholar)’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선교사 겸 학자’는 그리스도교 선교사 중 자신이 활동한 나라의 언어와 문화, 역사를 연구한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필자가 만든 개념이 아니라 영미권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이다. 한국 최초의 ‘선교사 겸 학자’들은 1892년 북감리교 한국선교부가 만든 영문 월간지 「코리안 리포지터리(The Korean Repository)」를 통하여 탄생하였다. 헐버트, 존스, 게일, 랜디스가 그들이다. 1898년 랜디스가 사망하고 「코리안 리포지터리」는 발행을 중단하였으나, 나머지 세 사람은 각자의 연구를 계속하는 한편 왕립아시아학회 한국지부를 설립하여 더 많은 사람들이 한국학 연구에 참여할 수 있는 토양을 마련하였다.
Some protestant missionaries who arrived in Korea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had a great academic interest in Korea. They began to study language, culture and history of Korea and published the results, while they did their regular missionary work. They even established the Kore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RASKB) as the world’s first Korean studies organization in 1900. Since then, RASKB had been the center of Korean studies for about forty years, distributing its journal and interacting with dozens of learned societies. As a part of long-term research to find out personal and academic relationships of Western scholars of Korean studies, the author investigates lives and careers of these people called ‘missionary and scholar’. The word ‘missionary and scholar’ means a Christian missionary who studied language, culture and history of his/her mission field. Those who wrote one or two articles does not count, and the number of ‘missionary and scholar’ who studied and published for a relatively long time was small. Homer B. Hulbert, George H. Jones, James S. Gale, and Eli B. Landis started from a lay missionary to Korea’s first ‘missionary-scholar’ by publishing in The Korean Repository, monthly magazine started by the Korean Mission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in 1892. Although Landis died in April 1898 and The Korean Repository has not been published in 1899, three men kept studying Korea and established a new stage called RASKB for more people to participate in studying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