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 이전 한국 개신교 여성에 관한 연구 -현황과 과제-

한국 개신교 역사 속 여성에 대한 연구는 뒤늦게 시작되었다. 기독교 여성에 관한 의미 있는 연구물이 나오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부터였고, 연구가 활발하게 된 것은 2천년대에 접어들어서였다. 이것은 두 가지 상황이 맞물리며 일어난 현상으로 보인다. 먼저, 1990년대 중반부터 기독교 학문의 제반 분야 및 한국사 등 인근 학문 영역에서 여성 연구자들이 크게 증가했다. 또한 이 시기부터 여성주의적(feminist) 관점이 각 연구 영역에 본격적으로 적용되기 시작했다. 그 동안 연구는 세 집단, 즉 여성선교사, 기독교계 신여성, 그리고 전도부인에 집중되었다. 여성선교사는 한국 기독교 여성사의 출발점이고, 신여성은 한국 기독교의 여성 엘리트층이며, 전도부인은 민중적 개척자들이었다. 대표적인 여성선교사와 기독교계 신여성이 다수 연구되었으며, 전도부인과 관련된 연구도 점점 확대되었다. 기독교 호교론적 입장이나 민족주의적 입장에서 개인이나 단체의 업적을 부각하는 연구도 여전히 있지만, 여성주의, 탈식민주의(post-colonialism), 문화사, 문학사, 사회사, 미시사 등 새로운 관점에서 접근한 연구도 다수 등장했다. 이런 흐름을 주도한 것은 여성 연구자들이었다.

Studies of women in Korean Protestantism began only recently. It was in the 1990s that early researches began to be published, and it was in the 2000s that people saw a proliferation of those studies. This phenomenon seems to come from two interconnected situations. First, the number of female researchers of Korean Christianity and related fields including Korean history has drastically been increased since the mid-1990s. Second, feminist perspectives began to be actively applied to various academic fields. Researchers have focused on three groups, namely, women missionaries, Protestant New Women, and Bible women. Women missionaries were the beginning point of women’s history in Korean Protestantism, New Women were the female elites, and Bible women were the grass-root pioneers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Initially, researchers has studied leading women missionaries and New Women, but eventually came to investigate Bible women. Some researchers are still trying to illuminate individuals and groups from apologetic or nationalistic purposes. However, many researchers have facilitated such diverse perspectives as feminism, post-colonialism, cultural history, history of literature, social history, and micro history. Women researchers have been leading these studies.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