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1163/15733831-12341714
미국에서 쓰이는 관용적 표현을 차용해, 이 글은 오늘날의 선교학 분야가 ‘블랙-풍(black-ish)’이라고 주장한다. 이 표현은 겉으로는 흑인(아프리카계 미국인) 문화를 표방하지만, 면밀히 살펴보면 그 문화에 진정성 있게 뿌리내리지 못한 대상을 가리킨다. 본 논문은 선교학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기여가 현저히 부족한 현실을 검토한다. 내부 구조화와 인식론의 문제를 지적하며, 선교학의 비일관성이 만들어 낸 미로 속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목소리와 문화가 자주 소실된다는 점을 논증한다. 아울러 선교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다루는 흑인 학술 성과의 축적된 목록이 이미 존재함에도, 미국에서는 백인 학계가 누리는 포용과 검토의 폭과 동일한 수준의 기회를 부여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지적한다.
Using the idiomatic expression found in the United States, this essay contends that the current field of missiology is black-ish. The expression is used to describe something purports to be Black (African American), but upon close inspection may not be authentic to the culture. This essay seeks to examine the dearth of specifically African American contributions to missiology. Citing issues of internal structuring and epistemology, an argument is made that African American voices and culture are often lost in this maze constituted by a lack of uniformity within mission studies. Additionally, there is an existing catalogue of Black scholarship that deals, directly and indirectly, with mission but is often not given the same latitude of inclusion and review that White scholarship is afforded in the United St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