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 중심적 설교에서 선교적 설교로

*페이지 하단 '바로가기'를 눌러 전문을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본 연구는 그리스도 중심적 설교가 선교적 해석학의 도움을 받아 보완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저자는 설교자로서 자신의 설교가 선교 활동은 활발했으나 회중을 선교적 존재로 형성하는 데는 충분하지 않았다는 반성에서 출발한다. 이에 그리스도 중심적 설교 방식을 선교적 해석학과 연계하여 보완하는 것을 목표로 논의를 전개한다.

먼저 그리스도 중심적 설교를 변호한다. 팀 켈러의 정의를 따라, 그리스도 중심적 설교를 "본문이 전체 성경의 중심 사상인 그리스도와 구원의 복음을 어떻게 가리키는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정의한다. '그리스도 일원론(Christomonism)' 비판에 대해서는, 프레드 샌더스의 동심원 개념을 활용하여 "그리스도 중심적이어야만 삼위일체적"이라고 응답한다. 그리스도를 중심에 두는 것은 성부와 성령을 무시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삼위일체 전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삼위일체론과 선교적 해석학의 접점을 탐구한다. Missio Dei(하나님의 선교) 개념은 근본적으로 삼위일체 신학의 부흥과 연관되며, 선교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본성에서 흘러나온다. 그리스도 중심적 설교와 선교적 해석학은 모두 인간의 역할보다 하나님의 역할을 우선시한다는 공통점을 가지며, 이를 기반으로 협력할 수 있다.

네 가지 구체적 모델을 통해 두 접근법의 협력 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선교사 하나님 접근법은 예수 그리스도를 하나님의 선교를 구현하신 분으로 이해하며, 그분의 안전을 떠나심이 우리에게 궁극의 안전을 주었음을 강조한다. 둘째, 하나님의 선교 이야기 접근법은 은혜 서사를 통해 도덕적 성취 서사를 해체하고, 자기 의가 아닌 은혜에 기초한 선교적 존재로 형성한다. 셋째, 대항문화 접근법은 십자가에 못 박힌 신을 선포하는 기독교의 반문화적 특성을 강조하며, 산상설교를 윤리 체계이자 그리스도의 초상화로 제시한다. 넷째, 특수성에서 보편성으로 가는 접근법은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통해 특수한 사건에서 보편적 확장으로 나아가는 선교적 움직임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그리스도 중심적 설교와 선교적 해석학은 상호 보완적이다. 전자는 복음의 명확성을 제공하고, 후자는 교회의 선교적 정체성과 사명을 강화한다. 이 둘의 통합을 통해 복음 선포와 회개의 메시지를 소중히 여기면서도 선교적 교회를 세워갈 수 있다.

주제어: 그리스도 중심적 설교, 선교적 해석학, 하나님의 선교, 삼위일체, 은혜 서사, 대항문화

This study explores how Christ-centered preaching can be complemented by missional hermeneutics. The author begins with a self-reflection that while his church was active in mission activities, his preaching was insufficient in forming the congregation into missional beings. He aims to supplement his Christ-centered preaching approach by integrating it with missional hermeneutics.

First, the paper defends Christ-centered preaching. Following Tim Keller's definition, it defines Christ-centered preaching as "showing how the text points to Christ and the gospel of salvation, the central message of the entire Scripture." In response to the criticism of "Christomonism," the author employs Fred Sanders' concentric circle concept, arguing that "one must be Christocentric to be Trinitarian." Centering on Christ does not ignore the Father and the Spirit but rather encompasses the entire Trinity.

The paper explores the intersection between Trinitarian theology and missional hermeneutics. The Missio Dei concept is fundamentally related to the revival of Trinitarian theology, with mission flowing from the nature of the Triune God. Both Christ-centered preaching and missional hermeneutics share the common ground of prioritizing God's role over human role, enabling their cooperation.

Four specific models demonstrate how these two approaches can work together. First, the Missionary God approach understands Jesus Christ as one who embodied God's mission, emphasizing that His leaving security gave us ultimate security. Second, the God's Missional Story approach deconstructs the moral performance narrative through the grace narrative, forming missional beings based on grace rather than self-righteousness. Third, the Counter-Culture approach emphasizes Christianity's counter-cultural nature in proclaiming a crucified God, presenting the Sermon on the Mount as both an ethical system and a portrait of Christ. Fourth, the Particularity to Universality approach shows the missional movement from particular events to universal expansion through union with Christ.

In conclusion, Christ-centered preaching and missional hermeneutics are mutually complementary. The former provides gospel clarity, while the latter strengthens the church's missional identity and calling. Through their integration, it is possible to build a missional church while cherishing the message of gospel proclamation and repentance.

Keywords: Christ-Centered Preaching, Missional Hermeneutics, Missio Dei, Trinity, Grace Narrative, Counter-Culture

Continue reading

No posts have been published yet.

This is a placeholder.
No posts have been published yet.

This is a placeholder.
No posts have been published yet.

This is a placehol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