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바울의 윤리적 가르침에 나타난 명예와 수치의 수사학적 기능을 데살로니가전서 4:1-8 본문을 중심으로 탐구한다. 기존 연구들이 바울 윤리의 기원이나 신학적 주제에 집중한 것과 달리, 본 논문은 명예와 수치의 언어가 이방인 회중의 윤리적 정체성을 재형성하는 데 수행하는 수사학적 역할에 주목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명예와 수치의 법정'(the court of honor/shame)이라는 확장된 개념적 틀을 사용하여 살전 4:1-8을 분석한다.
바울은 이방 도시인 데살로니가 교회 성도들에게 "거룩함과 존귀함으로 자기 몸을 절제하라"(살전 4:4)고 권면하며, 거룩함을 공동체적 명예의 핵심 가치로 제시한다. '명예와 수치의 법정'이라는 개념을 통해 분석한 바울의 윤리적 권면은 단순한 행위 규범을 넘어선다. 이 법정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차원에서 기능한다. 첫째, 신적 차원에서 바울은 삼위일체 하나님을 명예와 수치의 궁극적 기준이자 심판자로 제시하며, 하나님의 뜻(거룩함)을 따르는 삶을 명예로, 거부하는 삶을 수치로 규정한다. 둘째, 내면적 차원에서 바울은 명예와 수치를 성령의 역사로 새로워진 마음에서 비롯된 도덕적 감정으로 이해하며,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려는 내적 열망이 윤리적 순종의 동기가 됨을 강조한다. 셋째, 공동체적 차원에서 교회는 명예로운 언약 백성 공동체로서 세상과 구별되며, 성도들은 서로를 거룩함과 존귀함으로 대함으로써 하나님의 가족 질서를 구현한다. 넷째, 종말론적 차원에서 그리스도는 명예와 수치의 최종 심판자이자 현재의 통치자로서, 신자들은 임박한 심판을 바라보며 현재의 삶 속에서 거룩함을 실천하도록 촉구받는다.
결론적으로, 바울의 명예와 수치의 수사학은 데살로니가 교회를 복음에 근거한 명예로운 언약 백성으로 재정향시키고, 윤리적 삶을 하나님의 은혜로운 부르심에 대한 총체적 응답으로 확립하는 신학적이며 수사학적인 전략이었다.English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rhetorical function of honor and shame in Paul's ethical teaching, focusing on 1 Thessalonians 4:1-8. Unlike previous research that concentrated on the origins or theological themes of Pauline ethics, this paper highlights the rhetorical role of honor and shame language in reorienting the ethical identity of the Gentile congregation. To achieve this, the study analyzes 1 Thessalonians 4:1-8 using the expanded conceptual framework of 'The Court of Honor and Shame.'
Paul exhorts the believers in the Gentile city of Thessalonica to "control his own body in sanctification and honor" (1 Thess 4:4), establishing holiness as a core value of communal honor. Analyzing Paul's ethical exhortation through the lens of 'The Court of Honor and Shame,'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it transcends mere behavioral regulation. This 'court' functions across four dimensions: First, on the Divine Dimension, Paul presents the Triune God as the ultimate standard and judge of honor and shame, defining a life compliant with God’s will (sanctification) as honorable and a rejection of it as shameful. Second, on the Internal Dimension, Paul understands honor and shame as moral emotions stemming from a mind renewed by the Holy Spirit, emphasizing that the inner desire to please God is the motive for ethical obedience. Third, on the Communal Dimension, the church is defined as an honorable covenant people distinct from the world, where believers actualize the order of God's family by treating one another with sanctification and honor. Fourth, on the Eschatological Dimension, Christ is presented as the final Judge and present Ruler of honor and shame, urging believers to practice holiness in their current lives in anticipation of the imminent judgment.
In conclusion, Paul’s rhetoric of honor and shame was a theological and rhetorical strategy that reoriented the Thessalonian church as an honorable covenant people based on the Gospel, establishing the ethical life as a holistic response to God's gracious calling.

.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