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전히 알레고리적이지 않은 바울의 알레고리: 갈라디아서 4장 27에 사용된 바울의 이사야 54장 1절 재고(再考)

본 논문은 갈라디아서 4장 21-31절에 나타난 '하갈과 사라 알레고리'를 바울이 인용한 이사야 54장 1절을 중심으로 재고찰한다. 해당 단락은 바울 신학 연구자들에게 해석상 어려운 본문으로 여겨져 왔는데, 특히 이사야 54장 1절 인용의 적절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연구들은 이사야 54장 1절이 바울의 알레고리 해석에 결정적인 열쇠임을 강조한다.

이에 본 연구는 바울의 '알레고리' 개념을 고대 그리스-로마 수사학 및 유대 수사학과 비교하며, 바울이 '하갈-사라' 내러티브를 '이것을 저것으로 빗대어 설명하는' 수사적 전환(trope)의 일종으로 사용했음을 밝힌다. 특히 바울의 알레고리는 단순한 비유를 넘어, 구약의 본문 해석을 통해 종말론적 사상을 정립하고 제시하는 수단으로 기능한다.

본문 분석 결과, 이사야 54장 1절의 '불임의 여인'은 이사야서 문맥에서 '포로 된 이스라엘 백성'의 상징인 '황폐한 시온/예루살렘'을 의미하며, 아브라함-사라 내러티브와 연결되어 초자연적인 방식으로 약속의 자녀를 낳게 될 종말론적 회복을 예고한다. 나아가 이사야 53장의 '고난 받는 종'의 대속적 사역을 염두에 둔 바울은,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을 통해 시작된 새 창조 사건이 이사야 54장 1절의 예언 성취임을 선언한다.

결론적으로, 바울의 알레고리에서 하갈은 '율법과 육체'에 속한 '시내산 언약'과 '지금 있는 예루살렘'을, 사라는 '약속과 성령'을 통해 자녀를 낳는 '위에 있는 예루살렘'(우리 어머니)을 상징한다. 바울이 궁극적으로 강조하는 것은 '율법과 육체'에 거하여 종노릇하려는 갈라디아 교인들과 그들을 부추기는 자들(하갈의 자녀)과, '성령'을 소유하여 율법으로부터 자유를 누리고 유업을 받는 자들(사라의 자녀)의 대조이다. 이러한 바울의 알레고리는 단순히 비유적인 차원을 넘어, 구속사적이며 묵시론적인 성격을 지니며, 그리스도 안에서 성령으로 태어난 초기 교회 공동체의 본질과 종말론적 신분을 천명하는 데 기여한다.

This paper re-examines the "Hagar and Sarah allegory" in Galatians 4:21-31, focusing on Paul's quotation of Isaiah 54:1. This passage has long been considered one of the most challenging texts for Pauline scholars, particularly regarding the contextual appropriateness of the Isaiah 54:1 citation. However, recent scholarship views the quotation as a critical hermeneutical key to understanding Paul's allegory.

This study first explores Paul's concept of "allegory" by comparing it with ancient Greco-Roman and Jewish rhetoric, arguing that Paul employs the Hagar-Sarah narrative as a rhetorical trope ,"this-for-that,"to explain his current situation. Paul's use of allegory is shown to be more than a mere figure of speech; it functions as a means of establishing and presenting apocalyptic thought through scriptural interpretation.

Analysis reveals that the "barren woman" in Isaiah 54:1 symbolizes the "desolate Zion/Jerusalem," representing the exiled people of Israel within the Isaiah context. This figure connects to the Abraham-Sarah narrative, foreshadowing an eschatological restoration where children of the promise are born through supernatural means. By considering the preceding 'Suffering Servant' in Isaiah 53, Paul asserts that the new creation inaugurated by Christ's death and resurrection is the fulfillment of the prophecy in Isaiah 54:1.

In conclusion, Paul's allegory contrasts Hagar, representing the covenant from Mount Sinai (which leads to slavery) and the present Jerusalem (belonging to 'flesh and Law'), with Sarah, representing the covenant of promise and the Jerusalem above (our mother, belonging to 'promise and Spirit'). Paul's central argument contrasts the Galatians and their agitators, who wish to return to bondage under the Law (children of Hagar), with those who possess the Spirit, enjoy freedom from the Law, and receive the inheritance (children of Sarah). Thus, Paul's allegory is not merely figurative but possesses a redemptive-historical and apocalyptic character, articulating the essence and eschatological status of the earliest Christ-followers born through the Spirit.

Continue reading

No posts have been published yet.

This is a placeholder.
No posts have been published yet.

This is a placeholder.
No posts have been published yet.

This is a placehol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