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신학

1. 목회자를 위한 자료

처음 읽는 신학자

마이클 리브스 / 복있는사람

기독교 역사 가운데 깊은 영향력을 남겼던 사상가들을 만나고 싶은데 시간과 배경 지식이 다소 부족하다면, 이 책을 적극 추천한다. 마이클 리브스는 깊이를 잃지 않으면서도 친절하게 우리가 알아야 할 신학자들을 소개해준다.

꺼지지 않는 불길

마이클 리브스 / 복있는사람

종교개혁은 모든 신자에게 참으로 중요한 시기이다. 하지만 의외로 종교개혁 역사와 신학에 대해 알기 쉬우면서도 핵심을 놓치지 않는 방식으로 가르쳐주는 책은 잘 없다. 이 책은 그 희귀한 저서 중 하나이다. 이 책을 읽으면 머리에는 지식으로 가득해질 것이고, 가슴은 뜨거워질 것이다.

거꾸로 읽는 교회사

최종원 / 복있는사람

이 책은 전통적 교회사와는 다른 방향성을 보여준다. 단순히 교회 중심적인 역사가 아니라, 어떻게 교회사 실제 역사 속에서 사회와 관계를 맺었는지에 방점을 두고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해, 교회가 각 시대 가운데 나타난 변화에 어떤 방식으로 대응했는지를 다룬다. 이 책은 역사 서적이지만, 동시에 오늘을 어떻게 살아야 할지에 대한 통찰 역시 제공해준다.

신조를 알면 교회사가 보인다

저스틴 홀콤 / 부흥과개혁사

교회사나 역사 신학에 있어 신조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의외로 신조에 대해 공부할 기회는 많이 없다. 많은 교회에서 사도신경을 매주 고백하지만, 그 맥락이나 의미에 대해 가르치는 경우는 드물다. 이 책은 사도신경이나 니케아 신조와 같은 고대 신조로부터,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이나 제2차 바티칸 공의회도 다룬다.

초대 교회사

후스토 곤잘레스 / 은성

따로 설명이 많이 필요 없는 교회사 고전이라 할 수 있다. 너무 어렵지 않으면서 누구나 읽을 수 있는 문체로 저술되었다. 신학 논의도 꽤 있지만, 역사 자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볼 수 있다.

중세교회사 다시 읽기

최종원 / 홍성사

영어권에서도 쉽게 추천할 수 있는 중세교회사 서적은 많지 않다. 한국어는 더더욱 그러하다. 그와중에 이 책은 보석처럼 우리에게 중세교회사와 친해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보통 중세라고 하면 암흑기를 생각하고, 잃어버린 시대로 여긴다. 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하나님은 여전히 일하셨고, 교회 역시 신실하기 위해 몸부림쳤다. 물론 부족한 점도 많았다. 이 책은 그 모든 면모를 놓치지 않고 소개하려 한다.

한국 교회사 걷기

임경근 / 두란노

교회사에 대해 공부하려고 하면, 고대, 중세, 중교개혁 역사를 중점적으로 하게 된다. 하지만 한국 신자라면 한국 교회사를 무시할 수 없다. 본서는 기독교 복음이 어떻게 한국 역사의 핵심적인 순간 가운데 중요한 역할을 했는지 다룬다. 나아가 해방 후 한국 교회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갔는지 다루고, 또 이러한 역사를 보며 어떤 고민을 이어가야 할지에 대한 통찰까지 제시해 준다.

신칼뱅주의

코리 브록 / 다함(도서출판)

본서는 신학을 주로 다루지만, 역사적인 연구로서의 모습 역시 갖고 있다. 바빙크, 카이퍼와 같은 신학자들이 시대의 흐름을 어떻게 읽고 그 시대에 대해 어떤 대안과 대응을 제시했는지 알려준다. 신칼뱅주의라는 교회사 가운데 중요한 사상 흐름을 친절하면서도 깊이 있게 알려주는 책이다. 신칼뱅주의에 대해 알고 싶다면, 아니 현대 사회에 대한 개신교의 응답에 대해 알고 싶다면, 꼭 읽어야 할 책이다. .

2. 학생과 연구자를 위한 자료

알리스터 맥그래스의 역사신학 - 기독교 사상사 개론

알리스터 맥그래스 / 생명의말씀사 / 2022

교회사 및 역사신학을 진지하게 공부하려는 사람이라면 꼭 한 번은 읽어 보아야 할 책이다. 교부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사상가들, 그리고 주요 주제들에 대해 모두 짚어주는 소중한 연구서이다.

Exploring Christian Doctrine

Tony Lane / SPCK Publishing / 2013

한국 교계나 학계에는 많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역사신학이라는 분과에 있어 세계적으로 중요한 학자가 토니 레인이다. 교회사와 역사 신학의 경계가 모호할 때가 많은데, 토니 레인은 확실히 역사 신학의 편에 서서 역사라는 판 위에서 신학이라는 주제를 엄밀하게 다룬다. 어떤 신학 체계가 어떻게 발전하고 변화했는지, 어떤 맥락에서 그리했는지를 알고자 한다면 가장 추천하는 저서이다.

Church History: An Introduction to Research Methods and Resources (2nd, Rev.)

James E. Bradley & Richard A. Muller / Eerdmans / 2016

교회사를 연구할 때 사용해야 할 방법론들에 대해 다룬 책 중 단 한 권을 고른다면, 단연 이 책일 것이다. 정말 교회사 연구에 필요한 모든 내용을 다 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난이도가 다소 있지만, 교회사에 발을 담그려 한다면 한 번은 읽어보도록 하자.

칼뱅

브루스 고든 / IVP / 2018

브루스 고든의 칼뱅 전기는 주요 신학자 전기의 기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이 세상에 완벽한 전기는 결코 없겠지만, 이 책은 완벽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칼뱅이라는 사람을 집요하게 파고들면서도, 그가 처해 있었던 역사적 정황을 면밀하게 다루었다. 칼뱅의 신학이 갖는 의미를 탐구하면서도, 칼뱅이라는 사람이 누구였는지 알려준다. 칼뱅 역시도 부족한 죄인이었음을 강조하면서도, 동시에 그가 종교개혁사 및 교회사 전반에 있어 영향력을 끼칠 수밖에 없었던 이유 역시 제공한다. 일차 자료를 풍성하게 다루었지만, 학계 곳곳에서 일어나는 논의 역시 놓치지 않았다.

현대 신학이란 무엇인가

로저 E. 올슨 / IVP / 2021

현대 신학 입문서를 하나만 꼽는다면, 이 책을 고를 것이다. 단순히 어떤 현대 신학자가 어떤 사상을 펼쳤는지를 다루는 데서 멈추지 않고, 구체적으로 어떤 논의와 주장으로 인해 어떤 신학적 흐름들이 전개되었는지 알려준다. 각 신학자가 어떤 주장을 펼쳤는지를 면밀히 검토하면서도, 동시에 큰 그림을 그려준다.

Early Christian Doctrines

J. N. D. Kelly / Continuum / 2000

초대 교회 신학이라는 거대한 바다를 항해하다 보면, 길을 잃기 쉽다. 이 책은 그런 여행자들을 위한 탁월한 안내서가 된다. 이제는 조금 나이가 들었지만, 여전히 관련성을 유지하고 있는 책이다. 각 교리가 어떤 역사적 상황 속에서 발전될 수 있었는지 알려주는 유익한 초대 교회사 서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