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신학

성경신학이란 무엇인가

제임스 해밀턴 / 부흥과개혁사 / 2015

신약학자 James Hamilton의 이 짧은 책은 구약과 신약을 어떻게 통일성 있게 이해할 수 있는지를 간단하게 맛볼 수 있게 해주는 성경신학 개론서이다. Hamilton은 통일성의 핵심을 성경 저자들이 공유하는 해석적 관점에서 찾으며, 이 관점이 어떻게 성경의 배경, 등장인물, 줄거리 가운데 나타나며 상징, 이미지, 패턴, 유형론 등을 통해 표현되는지를 설명한다. 그는 통일성의 핵심이 언약이나 하나님의 나라라는 거대한 주제보다는 성경을 관통하는 거대한 이야기에 있다고 본다. 이 거대 이야기의 핵심은 하나님의 영광이 심판과 구원을 통해 드러난다는 원리이다.

성경신학개론 - 성경 신학의 핵심 40문답

제이슨 드루치 / 부흥과개혁사 / 2021

해밀턴의 개론서가 한 신약학자의 성경신학 접근법을 다소 단면적으로 제시한다면, 이 책은 구약학자, 신약학자, 조직신학자가 함께 모여 성경신학의 다양한 면을 문답형식으로 다룬 입체적인 개론서이다. 다루고자 하는 모든 성경신학 주제들을 40개의 문답으로 제시하는 방식은 독자의 흥미를 끌기 충분하다. 그리고 이 문답들을 성경신학의 정의, 방법론, 두 종류의 구체적 예시들, 그리고 적용이라는 5부분으로 나누어 정리한 것은 독자가 성경신학 전반을 균형 있게 이해하는데 효과적인 도움을 준다.

성경신학 스터디 바이블 (양장) - 개역개정

D. A. 카슨 / 복있는사람 / 2021

복음주의 신약학자 D.A. 카슨이 다른 세명의 저명한 신약, 구약, 조직신학들과 함께 편집한 이 책은 65명의 저자가 참여하여 성경신학의 원리를 실제 성경 읽기에 적용한 새로운 구조의 스터디 바이블이다. 성경 책마다 장르별 특성과 신학적 기여를 다룬 상세한 개론을 제공하며 구절별 주석에서는 개별 본문이 전체 구원사에서 갖는 의미를 설명한다. 후반부에 나오는 성경신학 입문을 위한 3개의 기초 논문은 성경신학 개념 확립에 도움을 주고, 이어지는 25개의 핵심 주제 논문들은 성경 전체를 관통하는 핵심 주제들을 자세히 설명해준다. 성경신학의 숲과 나무를 모두 볼 수 있게해주는 효과적인 안내서이다.

성경신학의 5가지 유형

에드워드 W. 클링크 III / 부흥과개혁사 / 2015

두 신약학자가 공저한 이 책은 앞의 개론서들과는 다르게 현대 성경신학의 복잡한 지형을 정리해주는 안내서이다. 현대 성경신학자들이 성경 전체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들을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유형 별 특징을 자세히 설명해 줄 뿐 아니라 각 유형을 대표하는 학자들의 실제 작업을 분석적으로 소개, 요약, 평가한다. 책의 뒷부분에는 이 모든 유형의 차이점과 특징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유용한 차트도 제공된다.

성경신학 - 신학적 진리의 기원과 본질과 발전 과장과 연구에 관한 논의

존 오웬 / 새언약 / 2024

John Owen의 이 6권 통합본은 청교도 신학의 거장이 남긴 중요한 작품이지만 부제가 시사하듯, 성경전체의 통일성 있는 이해를 추구하는 현대적인 의미의 성경신학이 아니라 신학사, 즉 하나님에 대한 관점들의 역사를 다룬 책이다. 대부분이 고대 이교도 발전사를 다루며, 성경 관련 부분도 하나님에 대한 기초적 개념들만 제시한다. Owen 시대 이후의 고고학적 발견에 비춰보면 상당 부분이 시대에 뒤떨어진 것도 사실이다. Owen 전집을 수집하는 이들이나 교회사 전공자에게는 의미 있는 자료이지만, 현대의 성경신학 연구를 원하는 독자들에게는 다소 아쉬울 수 있다.

성경신학

게르할더스 보스 / CH북스(크리스천다이제스트) / 2017

1948년에 출간된 이 책은 개혁주의 성경신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Geerhardus Vos 가 프린스턴 신학교에서의 오랜 교수 생활을 집대성한 고전적 걸작으로서 현대 복음주의 성경신학의 토대를 놓은 기념비적 작품으로 일컬어진다. 이 책에서 Vos는 성경신학을 “특별계시의 역사"로 정의하여 주석과 조직신학 사이의 독특한 영역으로 자리매김하고 구속사적 전개의 신학적 기초를 체계적으로 정립한다. 특히 인상적인 부분은 Vos가 특별계시의 역사를 점진적이고 유기적인 나무의 성장과정에 비유하여 족장시대의 뿌리 체계에서 모세시대의 좁은 줄기를 거쳐 신약시대의 넓게 펼쳐진 가지로 성장한다는 묘사이다. 이 책은 특히 복음주의-개혁주의의 전통에서 성경신학의 원류를 탐구하고자 하는 이들에게는 필수적인 고전이다.

신구약 성서신학

브레바드 S. 차일즈 / 은성 / 2009

역사비평 전통 안에서 훈련 받은 Brevard S. Childs는 역사비평의 성과를 인정하면서도, 그것 만으로는 성경의 신학적 의미를 충분히 포착할 수 없다고 보고 이 책에서 “정경적 접근법”이라는 새로운 해석적 틀을 제시한다. 그는 성경신학을 신적 실재를 가리키는 다양한 목소리들을 조화롭게 듣는 작업으로 정의하며, 구약과 신약의 결합된 증언을 통해 그리스도 안에서 발견되는 완전한 실재로 나아가는 대화적 과정으로 본다. 하지만 책의 많은 부분이 방법론과 학술사 정리에 할애되고 후반부 한 장에서야 하나님의 정체성, 창조, 그리스도, 화해 등 실제 신학적 주제들을 다룬다. 그리고 여기서도 성경 본문과의 직접적 상호작용보다는 학술적 논의에 많은 지면을 할애한다.

성경신학

토마스 R. 슈라이너 / 부흥과개혁사 / 2016

Thomas Schreiner는 Vos의 구속사적 접근법을 현대적으로 계승하여 구속사를 관통하는 원리를 규정하는데, 그 초점을 하나님의 왕 되심과 아름다움으로 규정한다. Schreiner 에게 구속사의 진행은 하나님이 왕으로서 적들을 정복하여 자기 백성을 구속하시는 분이심을 나타내는 과정이며 그 과정을 통해 하나님이 아름답고 찬양 받기에 합당한 분이심이 점진적으로 드러난다. 이 성경신학적 틀 안에서 그는 구약과 신약 전체를 권 별로 풀어나간다. 특히 바울서신을 다루는 부분은 바울의 성경신학 이해에 많은 도움을 준다.

Biblical Theology: A Canonical, Thematic, and Ethical Approach (Hardcover)

Andreas J. Köstenber & Gregory Goswell / Crossway / 2023

Köstenberger & Goswell 이 공저한 이 책은 하나의 중심 주제로 성경 전체를 통합하는 Schreiner와 다르게 성경 66권 각각의 독특한 목소리와 신학적 다양성을 존중하여 이들의 고유한 신학적 기여에 집중하고 또한 정경 순서의 해석학적 의미를 탐구한다. 구조에 있어서도, Schreiner는 각 구약 본문을 역사적 맥락에서 설명한 후 신약과의 연결점을 제시하는 직선적 구조를 사용하는 반면, 이 책은 각 책마다 도입부-주제-윤리-스토리라인이라는 일관된 네 단계 형식을 적용한다. 특히 "윤리" 부분은 Schreiner 에게서는 찾기 어려운 독특한 강점으로, 각 책의 도덕적 교훈을 체계적으로 다룬다.

성경신학 - 성경 전체를 종합적으로 다루는 다중주제적 연구방식

찰스 스코비 / 부흥과개혁사 / 2017

단일 중심 주제로 통일성을 추구하는 Schreiner와 개별 성경의 고유성을 강조한 Köstenberger & Goswell 과와는 다르게 Scobie는 다중 주제적 접근법을 통해 성경의 신학적 풍성함을 균형 있게 제시한다. “하나님의 질서,” “하나님의 종,” “하나님의 백성,” “하나님의 길”이라는 네 가지 주요 주제가 어떻게 성경 전체에서 “선포, “약속,” “성취,” “완성”의 단계를 거쳐 진행되는지를 추적하는 방식이다. 특히 성경신학 입문자들을 위한 100페이지 분량의 서론 부분은 성경신학 초보자에게 큰 도움이 된다.

Central Themes in Biblical Theology : Mapping Unity in Diversity (Paperback)

Edited by Scott J. Hafemann and Paul R. House(eds.) / Inter-Varsity Press / 2007

복음주의 신약학자와 구약학자가 공동편집한 이 책에는 성경의 다양성 속에서 신학적 통일성을 탐구한 복음주의 학자 7명의 글이 담겨있다. 이 저자들은 언약 관계, 하나님의 명령, 속죄, 여호와의 종, 여호와의 날, 하나님의 백성, 구속사라는 일곱 가지 핵심 주제를 통해 구약과 신약의 연속성을 통찰력있게 논증한다. 특히 Hafemann 의 글은 언약을 유형별로 구분하는 전통적인 방식을 극복하여 언약들 사이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언약관계에 초점을 맞춘다. 또한 Chiampa가 제시하는 언약-죄-유배-회복이라는 구속사 구조는 단순 모형론을 넘어서 성경 전체를 역사의 흐름속에서 이해하는데 유용한 틀을 제공한다.

IVP 성경 신학 사전

데스몬드 알렉산더 / IVP / 2020

Alexander & Rosner 가 편집한 이 책은 1994년 틴데일 펠로우십의 두 성경 프로젝트에서 출발한 복음주의 성경신학의 종합적 사전으로서 “교회 안에서 그리고 교회를 위한 성경의 신학적 해석”이라는 명확한 정의 하에 성경신학의 이론과 실제를 체계적으로 정리한다. 3부로 구성된 이 사전은 성경신학의 성격과 과제를 다룬 1부, 정경의 각 책을 순서대로 다룬 2부, 그리고 핵심 인물들(아브라함, 다윗, 예수 그리스도)과 개념들(속죄, 선택, 영광, 성육신)을 망라한 3부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성경신학과 조직신학 사이의 오랜 간극을 좁히려는 시도와 성경 해석을 교회 공동체 안에서 수행하려는 노력이 돋보인다. 다만 복음주의적 관점이 강하게 반영되어 정의(justice) 같은 사회윤리적 주제들이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뤄진 한계가 있다.

성서신학

제임스 K. 미드 / 기독교문서선교회(CLC) / 2014

위의 성경신학 책들이 대부분 성경신학을 "실행"한 작품들이라면, Mead 의 이 책은 성경신학 자체의 본질과 방법론을 탐구하고 성경신학자들을 연구한 메타-학문적 저작이다. 성경신학사 개관, 구약과 신약의 관계, 통일성과 다양성 문제, 기술적 대 규범적 접근법 등 여러 핵심 쟁점들을 포괄적으로 다룬다. 논의하는 저자의 범위도 Gabler부터 von Rad와 Bultmann을 거쳐 Childs 와 Bruggermann에 이르고 페미니스트, 유대교, 탈식민지주의 관점까지도 포함한다. 특히, 여러 접근법들을 내용 중심, 자료의 형태 중심, 해석자의 관점 중심인지에 따라 세가지 방법론적 범주로 분류한 4장이 흥미롭다. 성경신학 연구의 전체 지형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안내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