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st updated: 250826
스가랴 - 나라가 임하시오며 (BST)
배리 웹 / IVP / 2019
BST의 성경 강해 시리즈로 부제(나라가 임하시오며)가 드러내 보여주는 바와 같이 스가랴서를 ‘지금’와 ‘아직’ 사이의 긴장을 드러내 보여주는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한 하나님 나라의 도래에 대한 메시지로 읽는다. 스가랴서의 내용이 당시의 배경에서 무엇을 의미하는지, 나아가 궁극적으로 스가랴서의 비전이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어떻게 성취되었는지를 끊임없이 돌아보는 구속사적 맥락을 중시하는 책이다. 가독성이 매우 뛰어나다. 원서는 2024년 개정판이 나왔다.
스가랴 - 스가랴서 주해와 현대적 적용, 개정2판
장세훈 / SFC / 2024
약 450p에 달하는 국내학자의 상세한 스가랴서 해설. 각 단락마다 개요-본문 분석-현대적 적용의 순서로 내용이 구성되어 있으며, 풍부한 난외 해설 외에도 본문이 어떤 식으로 교차 대구 분석을 이루고 있는지, 또한 모호한 스가랴서의 본문의 특성에 의해 나타날 수 밖에 없는 다양한 학자들의 입장의 차이와 번역의 차이 등을 표로 제시하여 시각적으로 독자의 이해의 편의를 도왔다. 역시 신약에서의 성취를 강조하는 구속사적 입장을 중시한다.
소예언서 어떻게 읽을 것인가 3 - 스바냐, 학개, 스가랴, 말라기
김근주 / 성서유니온선교회 / 2018
스바냐-학개-스가랴-말라기의 12선지서의 마지막 네 권을 함께 다루는 합본이지만, 스가랴서가 거의 500p에 가까운 분량으로 본문에 대한 상세한 해설을 제공한다. 사용된 히브리어 단어와 성경에서의 용례, 히브리어 문법에 대한 설명 외에 난해 구절에서의 BHS 본문 비평적 제안, 그리스어 70인역 등의 고대 역본과의 비교를 제공하며, 종종 이 해설을 저자 특유의 선지자적 설교와 결합한다.
소선지서 2 - 미가-말라기, 개정판
기동연 / 총회출판국(대한예수교장로회) / 2024
미가부터 말라기까지의 소선지서 합본주석, 스가랴에 관한 해설은 약 300페이지 정도의 분량이다. 매 장마다 본문 개요-내용분해(구조)-본문주해-교훈과 적용의 순서로 해설이 제공되며 다소 보수적인 성향의 주석으로 역시 신약과의 연결을 중시한다. 종종 본문의 문학적 배열의 구성을 시각적으로 부각시켜 독자의 이해를 도와주며, 관련된 고대근동 자료를 제공해주기도 한다.
Haggai, Zechariah 1-8, Zechariah 9-14 (AYBC)
Carol L. Meyers and Eric Meyers / Doubleday & Company / 1987, 1993
저명한 비평주석인 앵커 바이블 시리즈의 스가랴서 주석. 1권은 학개와 합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학개와 스가랴 1-8장이 동시대, 함께 구성된 두 부분의 저작으로 다루어지고, 2권은 나머지 9-14장을 다룬다. 스가랴만 총 850페이지 정도의 분량에 달하는 방대한 저작. 본문 해설도 탄탄하며 특히 다른 주석과의 차별성으로는 사진들을 포함하여 유용한 역사적 논평과 고고학적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Haggai, Zechariah (NIVAC)
Mark J. Boda / Zondervan / 2004
학개, 스가랴서 합본의 주석으로 스가랴서에는 약 370p 정도의 분량이 할애되어 있다. 매 장마다 본래 의미-맥락 연결-현대적 의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고 본문 해설은 다소 간략한 편이지만 꽤 충실한 편이며, 스가랴서와 관련된 성경신학적인 맥락을 풍부하게 제공해준다. 현대적 의의를 다루는 부분은 주로 서구사회(특히 북미)의 사례를 제시하기 때문에 오늘날 한국의 상황에서의 적실성을 끌어내는 것은 사실상 독자의 몫이다.
The Twelve Prophets: Volume 2 (Berit Olam)
Marvin Sweeney / Liturgical Press / 2021
마빈 스위니의 두 권으로 구성된 12선지서의 해설로 제 2권에 수록. 약 150페이지 분량의 짧은 해설로, 통찰이 있으면서도 종종 다른 주석서들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독특한 해설을 제공한다.(예를들어 스위니는 이사야 8장의 증인인 “스가랴”와 스가랴서의 선지자 스가랴를 연결짓거나 2:9의 ‘손을 움직인다.’를 성전의 희생제사와 연결지어 해석을 시도한다.) 충분히 읽어볼만한 가치는 있다.
Zechariah
Edgar W. Conrad / Sheffield Academic Press / 1999
본서는 스가랴서의 해설에 관한 책이지만, 저자인 에드가 콘래드는 스가랴서가 속해 있는 12선지서 전체를 한 권의 단일체로 보는 시각 아래에서 본문을 해설한다. 그는 특히 학개와 스가랴서에 나타나는 ‘천사/사자’(말라크)라는 말에 주목하여 학개와 스가랴의 시대를 여호와의 임재가 함께 했던 옛 시대의 회복으로 바라보며, 1-8장에 나타나는 여호와의 뜻의 펼쳐짐과 9-14장에 나타나는 악한 목자들의 활동 사이에 존재하는 긴장을 인식한다. 문학적으로 많은 통찰을 제공하는 책이다.
Zechariah 9-14 (IECOT)
Paul L. Redditt / Kohlhammer / 2012
본서가 다루는 범위는 스가랴서의 9-14장에 한정되어 있지만, 최종본문의 정경적 형태의 해설(공시적 해석) 외에도 추정되는 본문형성의 재구성(본문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현재의 형태에 이르게 되었는지) 역시 자세하게 다룬다.(통시적 해석, 저자는 슥 9-14장이 전통적인 종말론적 희망을 담은 네 개의 모음집과 약간의 보충자료로 구성되어 있다고 추정한다.) 이러한 부분은 설교자보다 학자들에게 도움이 되겠지만, 본서의 공시적 해석 부분은 설교자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