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라-느헤미야

last updated: 25.09.01.

에스라-느헤미야 (WBC)

H.G.M 윌리암슨 / 솔로몬 / 2008

출간된 지 오래 됐지만, 오늘날 학문적인 에스라-느헤미야 주석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다. 블렌킨소프와 달리 역대기 편집자와의 관련성을 부정하며, 에스라-느헤미야가 3단계 편집을 거쳐 마지막에 에스라 1-6장이 덧붙여져 헬레니즘 시기에 최종 형성됐을 것이라고 간주한다. 이 시리즈(WBC)가 그러하듯 본문 형성사와 역사적 쟁점을 잘 다룰 뿐 아니라 본문 비평과 주석도 비교적 충실한 편이며, 적은 분량이긴 하지만 신학적 해석도 제시해 준다. 다만 본문 형성사나 역사적 쟁점을 다루면서 저자가 과도하게 구체적인 추론을 제기할 때가 종종 있다.

Ezra-Nehemiah (OTL)

Joseph Blenkinsopp / Westminster John Knox Press / 1988

역시 출간된 지 오래 됐으나 윌리엄슨의 주석과 마찬가지로 본문 형성사와 역사적 쟁점을 다루는 데 충실하다. 윌리엄슨과는 달리 역대기 저자와의 관련성을 중시하지만, 학계에서 이 관점은 상대적으로 강조되지 않고 있다. 윌리엄슨이 에스라와 느헤미야의 연속성보다 차이에 주목하는 편이라면, 블렌킨소프는 두 문헌 사이의 연속성에 더 주목한다. 흥미로운 지점은 소위 에스라와 느헤미야의 역사적 활동 순서를 전통적인 견해와 달리 역순(즉 느헤미야가 먼저 성벽을 완성한 후에 에스라가 와서 활동한 것)으로 제시한다는 점이다.

Ezra and Nehemiah (Berit Olam)

Gordon F. Davies / Liturgical Press / 1999

시리즈(Berit Olam)의 성향에 따라 최종 본문의 수사 전략을 분석하는 데 주의를 기울이며, 이를 통해 최종 본문의 신학적 목적을 탐구하는 데 유용하다. 다만 전체 본문에 주의를 기울이기보다 연설, 서신, 기도 같은 일부 담화를 중심으로 수사를 분석하므로, 전체 내러티브의 흐름과 에스라/느헤미야 인물의 특성을 파악하기에는 부족할 수 있다. 또한 실제로 일부 본문(예. 스 2-3, 8장, 느 11-13장)을 건너뛰기도 한다.

Ezra & Nehemiah (BTCB)

Matthew Levering / Brazos Press / 2007

시리즈의 특징을 반영해 에스라-느헤미야의 본문 형성사나 역사적 배경보다는 신학적 해석에 중점을 기울인다. 특히 구·신약을 적절하게 연결하면서 신학적 해석에 중점을 기울이므로 정경적 해석에 기반을 둔 설교에 유용하다. 에스라-느헤미야 주석을 남긴 거의 유일한 교부라는 점에서 베다 베네라빌리스(8세기)가 고대 주석가로 자주 인용된다. (참고로, 느헤미야의 결론부에 인용된 심플리쿠스와 빅토리누스 이야기도 느헤미야 이야기와 관련해 생각해 볼 지점을 제공한다.) 다만 장별로 분량이 적은 것은 다소 아쉬운 부분이다.

Ezra - Nehemiah (HCOT)

Bob Becking / Peeters / 2018

이 책이 속한 시리즈(HCOT)는 본문 해석의 다양한 전통에 관심을 두는 주석이며, 이 주석은 에스라-느헤미야 본문의 내러티브 전략을 고찰하는 데 특히 유용하다(스 3-6장의 비연대기적 서술에 대한 통찰이나 느 10, 13장의 연계 등). 저자는 큰 단락의 서론부(essentials and perspectives)에서 간략한 해석 관점과 요약을 제시하고, 이어지는 절별 주해를 간략히 소개한다. 시리즈의 특성상 신학적 주제를 넓게 다루지 않으나, 이 책과 함께 저자의 Ezra, Nehemiah and the Construction of Early Jewish Identity(Mohr Siebeck)을 함께 살펴보면, 이 시기 유대인들의 정체성 형성을 다루는 데 유용할 수 있다.

Ezra and Nehemiah (ZECOT)

Gary Smith / Zondervan Academic / 2022

시리즈(ZECOT) 특성에 따라 본문의 문학적 맥락을 설명하고, 해당 본문의 구조와 담화 분석을 제공하는 데 탁월하다. 각 의미 단락(pericope)마다 주제 > 문학적 맥락 > 구조 및 문학적 형태 > 간략한 본문 주석 > 정경적 맥락 및 신학적 의미를 소개하므로 설교 준비에 유용하다. 도표화가 잘 되어 이해가 편리하다는 점도 설교에 유용한 지점이다. 시리즈 특성에 따라 본문의 역사적 맥락이나 정경 형성사를 다루는 데는 많은 지면을 할애하지 않는다.

The Books of Ezra and Nehemiah (NICOT)

Hannah K. Harrington / Eerdmans / 2022

최근 주석답게, 서론에서 학계의 역사를 잘 요약해 설명해 준다. 도표로 잘 정리되어 제시된다는 점도 장점이다. 상대적으로 이 시기의 역사에 문외한인 이들은 서론에 제시된 역사 관련 자료(IV. SETTING, V. PERSIAN RULE, VI. SECOND TEMPLE JUDAISM)를 읽어 보면 유용하다. 본문 주해도 상세한 편이지만, 제2성전 시대 문헌을 통해 제시하는 보충 설명(excursus)이 오히려 유용한 때가 있다(예. 제2성전기의 예언, 참회 기도 등).

Ezra (AYBC)

Tamara Cohn Eskenazi / Yale University Press / 2023

가장 최근 주석답게 서론이 상세한 편이며, 특히 에스라-느헤미야 해석사를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간략하게 잘 정리해 보여 준다(페르시아 시대 역사를 개관해 주는 서론 항목도 잘 살펴보면 유용하다). 본문은 단락의 구조를 서술하고 본문 주석상의 이슈를 다루면서 다양한 학자를 인용하며 해설을 제시하는데, 에스라만을 다룬다는 점에서 에스라-느헤미야의 통전성에 관심을 두는 독자에게는 다소 아쉬울 수 있지만, 저자의 느헤미야 주석도 출간 예정이라고 해당 출판사 페이지에서 직접 밝혔으므로, 이후에 출간되기를 기다려 보자.

A History of the Jews and Judaism in the Second Temple Period (Vol. 1, Revised)

Lester L. Grabbe / T&T Clark / 2006

제2성전기 유대교와 유대인들의 배경을 다루는 레스터 그래비의 4부작 중 1권이며, 에스라-느헤미야의 배경이 되는 페르시아 시대의 제2성전기를 주로 다룬다. 이 시기의 성경 외부 관련 자료 목록 및 배경을 폭넓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Unity and Disunity in Ezra-Nehemiah : Redaction, Rhetoric, and Reader

Mark J. Boda & Paul L. Redditt(eds.) / Sheffield Phoenix Press / 2008

에스라-느헤미야 연구의 일선에 있는 학자들이 자신의 관심 주제를 다룬 기고문 모음집.

Ancient Israel's History: An Introduction to Issues and Sources

Bill T. Arnold and Richard S. Hess(eds.)/ Baker Academic / 2018

13장 5-4세기 총독직과 제사장직(Fifth- and Fourth-Century Issues: Governorship and Priesthood in Jerusalem) 글에서 관련 주제에 대한 고고학 및 성경 외부 문헌을 제공해 준다.

The Theology of the Books of Ezra and Nehemiah

Roger S. Nam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2024

1부에서는 비평 관련 주제(에스라-느헤미야와 역대기의 관계, 에스라-느헤미야의 형성, 역사적 배경, 신학적 틀로서의 본국 귀환)를 다루고 2부에서는 귀환·재정착 등의 이슈를 트라우마, 권력, 정체성 등의 신학적 주제로 엮어내 설교 시리즈의 큰 그림을 잡기에 유용하다. 3부와 4부에서는 각각 구약 다른 본문과의 상호 관계 및 이후 시기 해석자들과의 관계(즉 수용사)를 다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