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st updated: 250826
다니엘 연구 입문
필립 R . 데이비스 / 기독교문서선교회(CLC) / 2017
번역서로 약 200p가 못되는 분량이지만, 다니엘서의 주요 주제를 일목요연하게 서술하는 뛰어난 개론서이다. 다니엘서 자체의 문헌적 특징(이야기와 환상, 히브리어와 아람어의 두 언어), 이후 유대 문학과 신학에 끼친 지대한 영향사, 역사적 배경, 다니엘서가 묘사하는 하나님, 왕들과 이야기의 영웅들(다니엘과 세 친구들), ‘사람의 아들’과 ‘성도들’, 환란과 지혜자들의 구원, 저자들에 대한 분석을 담고 있다. 특히 역사적 자료에 대한 표가 유용하다.
포로된 자들을 위한 소망의 드라마, 다니엘서
임주형 / 감은사 / 2024
히브리어 본문 최종 형태의 다니엘서를 전체로서의 하나의 드라마로 읽어내는데 집중한다. 히브리어와 아람어의 의미를 살려낸 본문의 문예적 해설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독자의 ‘읽기’ 과정을 통해 어떻게 수수께끼 같은 다니엘서 환상의 의미가 점점 확정되어 가는지를 보여준다. 다니엘서의 뼈대라 할 수 있는 네 왕국 환상이 이 책의 1차 독자의 현실, 그리스의 안티오쿠스 에피파네스의 시대를 넘어 로마, 특히 신약성경의 재해석까지 확장될 수 있었는지를 살핀다.
다니엘처럼 - 낯선 땅에서 하나님과 함께
김근주 / 대장간 / 2019
저자 특유의 선지자적 설교와 본문 해설이 결합된 책, 각 부분의 해설 뒤에 본문의 메시지 요약 부분이 있어 설교에 도움이 될만한 포인트를 잘 잡아준다. 히브리어 본문 외에 부록으로 그리스어 판본에 실려 있는 다니엘서의 외경 본문(아자랴의 기도, 세 친구의 노래, 수산나, 벨과 뱀)에 대한 간단한 해설도 제공한다. 단점은 신약성경에서 다니엘서가 가지는 의미를 생각할 때에 이 책이 어떤 방식으로 신약성경에서 재해석될 수 있었는지 충분한 설명이 없다는 점이다.
다니엘
배정훈 / 한국장로교출판사 / 2016
약 250페이지 분량의 다니엘서 주석. 저자는 종말을 가리키는 새로운 계시는 다름 아닌 토라(모세오경)에 대한 해석으로, 다니엘 같이 토라에 순종하는 자(1-6장)가 새로운 계시를 받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7-12장) 1-6장과 7-12장을 통일성 있게 읽는 것과 네 왕국 사상의 해석 등을 소개하는 서론부는 특히 읽어볼만한 가치가 있다. 본문 해설은 무난하나 히브리어나 아람어에 대한 충분한 원문 해설과 역사적 배경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것이 아쉽다.
다니엘서 성경신학 - 하늘 구름을 타고 (NSBT)
제임스 해밀턴 / 부흥과개혁사 / 2021
다니엘서의 정경적 맥락과 구조적 구성, 성경적 패턴을 중시하는 다소 보수적인 성향의 다니엘서 신학에 대한 책이다. 다니엘서의 그리스도 중심적인 해석에 방점을 둔 연구로 초기 유대교 문헌(토비트, 쿰란문헌, 마카베오 1서, 에스라 4서, 에녹 1서)에 나타난 다니엘서의 영향 및 신약 성경, 특히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다니엘서의 해석을 제시하는데 많은 분량을 할애한다.
다니엘 (WBC)
존 골딩게이 / 솔로몬 / 2008
온건한 복음주의 학자의 주석. 본문, 다니엘서와 관련된 유대 전통 및 제 2성전기 문헌들, 신약성경에의 영향, 해석사를 소개하는 상대적으로 짧은 서론 이후, 각 장은 참고문헌 – 본문제시(영어로 된 저자 자신의 번역 포함) – 원문 주해(히브리어 해설) – 양식/구조/배경 – 주석 – 해설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다. 다니엘서 배후에 존재하는 풍부한 성경의 암시들과 히브리어 원문의 해설, 본문의 문학적 구성 및 본문 이해에 대한 좋은 통찰들을 제공한다. 원서로는 2019년에 개정판이 나왔다.
다니엘 (AOTC)
어니스트 루카스 / 부흥과개혁사 / 2017
현재 우리 말로 번역된 영어권 다니엘서 주석 중 가장 무난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학문적 주석이다. 본문과 역본, 이야기 파트(1-6장) 및 환상 파트(7-12장), 역사적 맥락 등을 소개하는 서론 이후, 각 장별로 성경본문(영어로 된 저자 자신의 번역 포함) – 각 절 별 본문 해설, 형식과 구조, 단락별 주석, 종합 해설의 순서로 본문이 구성되어 있다. 고대근동과의 많은 병행 자료들을 소개한다. 다만 주석의 형식이 그렇듯이 설교자 입장에서 다소 지루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Daniel (HM)
John Joseph Collins / Fortress Press / 1994
저명한 묵시문헌 전문가의 주석. 이 책의 특별한 장점은 다니엘서와 관련된 백과사전적인 정보의 제공으로 기본적인 텍스트(히브리어 본문과 그리스어 본문의 차이) 및 언어나 장르에 대한 설명 외에도 고대 근동 병행 자료들, 다니엘서의 문헌 형성 역사, 다니엘서의 주요 신학적 개념들에 대한 해설, 유대 문헌들에서의 다니엘서의 언급, 신약성경에 미친 다니엘서의 영향, 해석사, 기타 중요한 2차 자료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본문 해설 자체는 다소 지루한 감이 없지 않다.
Daniel (OTL)
Carol A. Newsom / Westminster John Knox Press / 2014
다니엘서 본문에 대한 유용한 역사적 정보와 좋은 문예적 통찰들을 제공하는 탄탄한 주석으로, 종종 관련 삽화들과 함께 부록을 통해 고대근동 관련 자료 및 제 2성전기 문헌들과의 병행을 제공한다. 무엇보다 이 책의 차별성은 각 장의 본문 해설에 따라오는 Breed, Brennan가 기고한 다니엘서의 수용역사에 대한 글에 있다. 성경의 책들 중 다니엘서의 후대의 수용 역사가 미친 영향력이 특히 크므로 독자들은 이 책에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Daniel (Westminster Bible Companion)
C. L. Seow / Westminster John Knox Pr / 2003
약 200페이지의 짧은 다니엘서 해설로 다른 학문적 주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루는 정보가 많지는 않지만, 중요한 히브리어 원문에 대한 해설, 구약성경 내 상호텍스트적 암시에 대한 민감함, 고대 근동의 관련된 풍부한 자료를 제시함으로 본문을 이해하는 뛰어난 통찰들을 제공해준다. 다만, 역시 신약성경에서 다니엘서가 어떻게 재해석될 수 있었는지에 대한 해설은 제공되지 않는다.